
제주도가 탐방로 쏠림 현상에 따른 주차 문제 해소 등을 위해 지난 3월 한라산 남벽정상탐방로를 내년 초 개방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것을 두고 도내 환경단체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한라산의 백미를 간직한 구간이지만 지형 및 생태계 보전이 가장 필요한 곳이기 때문에 “한라산 남벽정상 구간을 영구적으로 탐방로에서 제외, 보존해야 한다”며 탐방로 재개방 발표를 백지화 할 것을 촉구했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곶자왈사람들은 12일 오전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자연휴식년제 이후 아직까지도 복구가 안 된 남벽탐방로를 재개방하려는 것은 누가 보더라도 한라산 보전관리 정책의 후퇴”라며 “포화된 정상탐방객을 적정 수준에서 관리하기는커녕 24년 만에 이곳을 등산로로 재개방하려고 하는 것은 한라산 보전보다는 이용을 우선하자는 매우 위험한 결정”이라고 비난했다.
실제 세계유산본부가 최근 발표한 ‘한라산 남벽탐방로 훼손저감방안 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남벽정상의 사면이 지금도 붕괴되고 있다. 보고서는 남벽 탐방로 일대는 탐방객이 가장 선호하는 한라산의 백미를 간직한 구간이지만, 지형 및 생태계 보전이 가장 필요한 곳이기도 하다고 밝히고 있다.
이들은 “한라산의 보전·관리는 체계적인 계획과 일관성 있는 정책, 전문성을 갖춘 정책 시행이 뒷받침 돼야 한다”면서 “정책결정자가 바뀔 때 마다 한라산 보전정책이 바뀌고, 관리조직의 정책방향이 좌지우지되는 일을 반복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남벽정상 탐방로는 한라산 백록담 바로 아래 남벽 분기점에서 동릉 정상까지 이어지는 약 800m 구간이다. 지난 1986년 등산로가 개설된 후 이용객 증가로 등산로 일부가 붕괴, 낙석이 발생하자 1994년부터 탐방객 출입이 금지됐다. 제주도는 최근 성판악 탐방로에 등산객이 몰려 주차난·환경훼손 등 각종 문제가 제기되자 등산객을 분산하기 위해 남벽 등산로를 내년 재개장을 목표로 행정절차를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