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강정’ 아쉬움…李총리 확약이 없었다
‘4·3’ ‘강정’ 아쉬움…李총리 확약이 없었다
  • 박민호 기자
  • 승인 2017.06.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첫 제주 방문서 원론 수준 발언…검역 문제는 내년 예산에 반영

지난 9일과 10일 이틀간 제주를 방문한 이낙연 국무총리가 제주 4·3 희생자 배·보상을 위한 특별법 개정과 강정마을 구상권 문제 등에 대해 언급했지만 구체적인 실행 계획은 내놓지 모하면서 아쉬움을 남겼다.

새 정부 첫 제주4·3중앙위원회 위원장 자격으로 지난 10일 오전 9시 제주시 봉개동 제주4·3평화공원을 찾은 이 총리는 억울하게 희생된 이들에게 헌화·분향하고 이들을 위로했다.

이 자리에는 원희룡 제주도지사와 이문교 제주4·3평화재단 이사장, 양윤경 제주4·3희생자유족회장, 임문철 제주4·3도민연대 상임고문 등이 동행했다.

헌화·분향 후 위패봉안소에 들어선 이 총리는 방명록에 ‘4·3의 피와 눈물이 和解(화해)와 相生(상생)의 꽃으로 피어나기를 祈願(기원)합니다’라는 글을 남긴 후 이문교 이사장의 안내를 받으며 위패 봉안소를 둘러봤다.

이날 이 총리는 “개인적으로 저도 넓은 의미의 유가족이라고 볼 수 있다”며 “국회의원 당선 후 첫 법안인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 관련이었다. 그때와 지금의 마음이 다르지 않다”고 말했다.

4·3 희생자·유족들에 대한 배·보상 및 심사 문제에 대해 이 총리는 “4·3유족의 배‧보상을 위한 4.3특별법 개정에 많은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고, 유족 심의 역시 “빨리 가서 검토하겠다”고만 언급,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답은 답변을 들을 수 없었다.

앞서 전날 오후 제주를 방문한 이 총리는 가장 먼저 제주시 애월읍 AI 거점방역초소를 방문해 운영 상황을 점검하고,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이 총리는 이날 수행원들과 함께 버스를 타고 현장에 도착했다. 별다른 의전행사 없이 곧바로 보고와 방역 시연을 지켜봤다. 특히 방역 현장 근무자들과 일일이 악수를 나눈 후 90도에 가까운 인사를 올리는 총리의 모습은 “가장 낮은 총리가 되겠다”는 취임식 때의 다짐을 엿볼 수 대목이었다.

다만 강정마을 구상권 소송 철회 등 갈등해소 방안에 대해선 다소 시간이 필요하다며 즉답을 피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도민들의 이번 방문에 걸었던 기대에는 다소 미치지 못했다는 평가다.

섬 지역의 특성을 감안해 가축전염병 전문 진단기관 설립과 국경수준 검역체제 강화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대해 이 총리는 “제주도와 축산과학연구소 등 검역 관계기관과 논의하겠다”며 “빠른 시일 내 협의하고 내년도 예산에라도 반영하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강정마을 갈등해결 문제에 대해선 ”강정 구상금 청구소송 철회 등 강정마을 갈등해소는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이지만, 세부적인 준비와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필요하다”면서 “이만하면 됐다 싶을 때 방안을 내놓겠다. 그리 오래 걸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