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농가 주변 12만마리 살처분 불구 확산 우려 고조
제주도내 토종닭 사육농가의 조류인플루엔자(AI)가 고병원성 AI 바이러스로 최종 확인된 가운데 제주도가 추가 AI양성 반응이 나온 농가 주변 가금류 12만마리에 대한 살처분에 나섰다.
6일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이후 제주시 오일시장에서 가금류를 구입했다고 신고한 조천읍과 노형동, 애월읍 등 3개 농가에 대한 간이 진단키트 검사결과 H5 항원이 검출됐다.
제주도는 이에 따라 이들 세 농가가 보유한 가금류 59마리를 살처분한 데 이어 방역대 내(반경 3㎞)에 있는 농가 21곳에서 기르는 가금류 11만9581마리에 대한 추가 살처분에 나섰다. 살처분 작업에는 농축산식품국 직원과 도·직속기관·사업소 5급 직원, 제주시 6급 이상 직원 중 건강에 문제가 있는 인원을 제외한 공무원 550명이 투입되고 있다.
작업은 가금류를 생포해 비닐 속에 담아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번에 살처분한 가금류는 렌더링 처리(고열을 가해 유지를 짜내고 고형분을 분리하는 방식)하지 않고 매몰한다. 작업은 늦어도 7일 오전 중 마무리 한다는 계획이다.
제주도는 이후 추가로 신고한 농가에 대해서도 간이 진단키트 검사를 진행, 양성 판정이 나오면 반경 3㎞ 이내 가금류에 대해도 살처분을 실시할 방침이다.
그런데 전북 군산에서 오골계를 들여온 제주시 애월읍 소재 2개 농장에서 시중에 유통된 오골계 160마리 가운데 상당수 물량의 유통경로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도 전역으로 확산돼 살처분 규모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제주도가 AI 확산을 막기 위해 고병원성 AI 확진 판정이 나온 애월읍 소재 2개 농가에서 판매한 오골계의 행방을 찾기 위해 방송 자막과 재난안전 문자 등을 통해 신고를 받고 있지만, 신고가 미진한 상태다. 현재까지 59건의 신고가 접수됐지만 문제가 되고 있는 오골계로 파악된 물량은 92마리에 불과, 제주도민들의 적극적인 신고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제주도는 이날 재난대책회의를 개최하고 고병원성 AI 방역추진상황을 점검하는 하는 한편 향후 대책을 협의했다.
제주도는 우선 오일시장에서 가금류를 구입한 농가에 대한 신고를 계속해서 받는 한편 읍면동로 지역내 소규모 사육농가 파악, 문제농장을 확인해 나가기로 했다. 또 제주 저녁에 100마리 미만 소규모 가금농장에 대해서도 수매·도태를 병행 추진키로 했다.
이와 함께 도내 모든 가금류 농장 종사자와 차량에 대해서는 일시 이동중지(Standstill) 명령을 내렸다. 가금류 농가의 모임도 금지하고 축산 도축장·부화장은 필요하면 잠정폐쇄하기로 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살처분이 이뤄진 농장에 대한 잔존물 처리 및 차단 방역조치를 강화하는 한편, 방역대 내 주요도로 및 경계지역에 통제초소와 거점소독시설을 설치 운영하며 확산 방지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도내 가금 사육 농장과 관련 축산시설 운영자인 경우 철저한 차단방역을 실시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