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해 발생 예찰시스템 정확도 향상 도모
병해 발생 예찰시스템 정확도 향상 도모
  • 진기철 기자
  • 승인 2017.06.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도농기원, 감귤 더뎅이병·검은점무늬병·감자역병 등 3종 병해 4년간 조사

기후변화에 따른 병해 발생 예찰시스템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조사가 진행된다.

제주도농업기술원은 기후변화에 따른 돌발·외래 병해의 발생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자료 축적 및 변동 요인 구명을 위해 ‘병해 발생 예찰시스템 정확도 향상 조사시험’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최근 폭염과 가뭄, 집중강우 등 이상기상에 따라 토착 병해의 발생이 돌발적으로 증가하고, 재배작물 변화 및 국가 간 교역 증가에 따라 외래 병해에 의한 피해 예방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작물 병해의 기후변화 영향·취약성 평가에 관한 자료와 연구는 미흡한 실정으로 지속적인 데이터 축적과 정밀한 분석이 요구돼 왔다.

농기원의 이번 시험연구는 4년간에 걸쳐 추진되며, 기후변화에 따른 토착병해 발생 및 취약성을 조사해 기존에 설계된 병해발생 예찰시스템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조사는 제주지역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감귤 검은점무늬병, 더뎅이병과 감자 역병 등 3종 병해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감귤 검은점무늬병은 제주시 애월읍, 서귀포시 남원읍 지역별 3개 포장을 대상으로 포장별 발병엽(과)률, 시기별 발생정도를 생육기(4~11월) 15일 간격으로 조사한다.

감귤 더뎅이병은 포장별 병든 나무율, 시기별 발생정도를 생육기(4~11월) 15일 간격으로 조사하게 된다.

이와 함께 감자 역병인 경우는 제주시 한경면, 서귀포시 대정읍 지역별 3개 포장을 대상으로 포장별 발병주율, 시기별 발생정도를 생육기(9~11월) 15일 간격으로 조사할 계획이다.

송민아 연구사는 “조사된 병발생 양상과 기상환경의 상호 영향 관계를 분석해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의 정확도를 향상 시킬 계획”이라며 “농가소득 향상 등을 위해 병해충 피해를 최소화해 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