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주택 급증 지역경제 발목 우려
미분양주택 급증 지역경제 발목 우려
  • 제주매일
  • 승인 2017.05.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토교통부 집계에 의하면 올 4월 기준 제주지역 미분양 주택은 914호로 나타났다. 이는 한 달 사이 24.4%(179호)가 증가한 것으로, 지난 2012년 12월 954호 이후 최대 규모다.

작년 12월만 하더라도 도내 미분양 주택은 271호에 불과했다. 그런데 올해 1월 353호로 늘더니 2월 446호, 3월 735호로 눈덩이처럼 증가했다. 더욱이 이 같은 통계는 사업계획승인 대상인 30세대 이상의 주택 건축에 한정돼 있다. ‘나홀로 아파트’ 등을 포함하면 미분양 주택 규모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분양 주택 급증의 원인과 관련해선 두 갈래의 분석이 나온다. 하나는 제주의 신축 주택 가격이 크게 올라 수요 자체가 위축됐기 때문이라는 것. 또 다른 원인은 이주민 증가 등을 염두에 둔 업계의 무분별한 건축으로 인해 주택이 과잉 공급되고 있다는 것이다.

주택 과잉공급에 대한 우려는 비단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그동안 관계기관에서도 수 차례의 경고음을 발한 바 있다. 하지만 ‘쇠귀에 경읽기’ 식으로 업계는 애써 외면했다. 그 저변엔 ‘다른 곳은 몰라도 우리는 아니…’라는 심리가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분양 주택 급증은 결코 작은 문제가 아니다. 주택 분양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건설업체의 경영 악화 및 부실로 이어지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다. 이러한 여파는 지역경제 침체를 더욱 부추기는 ‘뇌관’으로 작용할 공산이 매우 크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주택경기가 다시 살아나야 하는데 현재로선 그런 조짐이 보이질 않는다. 이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작년 12월 90호에서 올해 4월 205호로 두 배 이상 늘어난 데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그렇지 않아도 지금 제주지역 경제는 중국의 ‘사드 보복’ 영향 등으로 관광을 포함 전반에 걸쳐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특히 중국인 관광객을 겨냥했던 일부 신제주상권의 경우는 거의 붕괴 직전에 이르렀다. 그것은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다.

이런 상황에서 건설업계의 고민이 현실화된다면 지역경제에 미치는 그 파장은 엄청날 것이 뻔하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시급한 대책마련이 요구되지만, 지금으로선 ‘뾰족한 수’가 없다는 것이 더욱 큰 문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