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제한’ 제주 유치원 정책 변화 ‘촉각’
‘연령제한’ 제주 유치원 정책 변화 ‘촉각’
  • 문정임 기자
  • 승인 2017.05.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누리 예산 국고부담 약속한 文정부
현재 25% 국·공립유치원 이용아동비율 40%로 확대키로
제주 李 교육감 중앙과 어떻게 보조 맞출까 향배 주목

문재인 정부가 내년부터 어린이집 누리과정(만3~5세) 예산을 전액 국고에서 부담하겠다고 발표하면서 국·공립유치원 이용 아동 비율을 대폭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현재 지역별로 취원 연령에 제한을 두고 있는 제주지역 공립유치원 운영 방향이 정부 정책과 어떻게 보조를 맞출 지 관심이 모아진다.

박광온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대변인은 지난 25일 “교육부는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을 전부 국고로 지원하기로 했다”고 밝히면서 “현재 25%인 국공립 유치원 원아 수용률을 40%로 높이겠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사립 유치원을 전환한 공공형 사립 유치원을 1330학급, 국·공립 유치원을 2431학급 증설하겠다는 안을 내놨다.

반면 제주지역은 2014년 이석문 교육감 취임 이후 공립유치원 학급 수를 줄여온 상황이다.

이 교육감은 만5세는 ‘pre-school’ 개념으로 유치원을 다니고 그 이하는 가정과 어린이집에서 보육을 받으면 된다는 입장을 내세우며, 제주시 동지역 병설유치원은 만 5세만 받도록 지침을 만들어 논란을 샀다. 이 정책으로 신광초, 도남초, 남초, 북초 등이 기존 만 4세반을 없애면서 전체적으로 병설유치원 학급 수는 계속 줄어왔다.

이런 가운데 문재인 정부가 유아 정책에 전향적인 입장을 밝히면서 제주교육청의 정책에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현재 제주는 영유아의 70%가 어린이집에 다니는 등 국공립 취원 비율이 전국의 25%에 월등히 못 미치고 있다.

특히 앞서 이석문 교육감이 누리과정 예산 문제가 해결되면 단설유치원 설립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혀온 것으로 알려지면서 전국에서 유일하게 제주에만 없는 단설유치원 설립 여부에도 촉각이 모아지고 있다.

복수의 학부모들은 “그동안 제주지역 아이들이 유치원 교육을 폭넓게 받지 못 해 아쉬움이 컸는데 정부에서 의지를 보여 여러 가지로 기대가 커지고 있다"고 주변의 분위기를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