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중고차업계가 매출부진으로 허덕이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오는 7월부터 중고차 매입세액 공제 규모를 10%에서 8%로 축소키로 결정, 시장이 더욱 얼어붙을 것으로 우려된다.
4일 제주도자동차매매사업조합에 따르면 수년 전부터 불황에 접어든 도내 중고차 시장은 최근 기름값 폭등 악재까지 겹쳐 최악이라는 것.
실제 중고차가 잘 팔리지 않다보니 문을 닫거나, 휴업하는 업체도 속출하고 있다. 지난 연말 70개에 이르던 중고차 업체는 현제 62개로 줄었고, 이 중 2개 업체는 휴업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이 영업 중인 업체 대부분도 예년에 비해 30% 가량 매출이 떨어지는 등 심각한 경영난에 봉착해 있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상황 속에 정부가 내달부터 취득가액의 10%를 공제해주던 중고차 매입세액 공제 규모를 8%로 축소키로 해 설상가상이 되고 있다.
중고차 매입세액 공제제도는 중개업자가 개인에게서 중고차를 살 경우 취득가액의 10%를 납부해야 부가가치세에서 공제 해주는 것으로 공제율이 축소되면 중고차 매매상의 세액 부담이 늘어나게 된다. 이 같은 세액부담 증가는 결국 중고차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침체된 시장을 더욱 냉각시킬 것이란 지적이다.
업계에서는 오는 7월부터 매입세액공제율 축소가 시행될 경우 시가 500만원 상당의 중고 자동차는 7~8만원, 1000만원짜리는 10만원 가량 가격이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제주도자동자매매사업조합 관계자는 이와 관련, “극심한 내수경기 침체로 인해 지난해부터 현재까지 전국적으로 700여개 이상의 매매업체가 휴ㆍ폐업을 하는 등 업계 전체가 도산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이런 판국에 매입세액공제율 축소는 ‘불난집에 부채질하는 격’”이라고 주장하며 방침 철회를 촉구했다.
한편 전국자동차매매사업조합은 오는 28~29일 이틀간 서울 여의도공원 등지에서 전국 조합원들이 참가한 가운데 매입세액 현행유지를 촉구하는 결의대회를 가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