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건 자체가 부결 의견도…일부 직원들은 불만
제주국제대학교가 교직원들의 임금 삭감 안을 표결에 붙였으나 의견이 팽팽히 나뉜 가운데(5월 19일자 1면 참조) 해당 대학 교수협의회(회장 신왕우)가 19일 성명을 내고 직원투표 결과에 관계없이 교수들의 압도적인 지지를 근거로 보수 조정안은 추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수협의회는 이날 ‘보수조정(안) 찬반투표 결과에 따른 우리의 입장’ 글에서 “교수 86명 중 51명이 찬성했기 때문에 이번 찬반 투표결과를 직원투표 결과와 상관없이 압도적인 지지로 가결된 것으로 간주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16~17일 시행된 투표에서는 전체 130명 중 124명이 투표에 참여한 가운데 찬성 62표, 반대 61표, 무효 1표, 기권 6표가 나온 바 있다.
당시 표면적으로는 한 표 차이로 찬성이 우세했지만, 임금 삭감과 같이 불리한 취업규칙 변경 시에는 재적인원 과반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는 근로기준법상의 규정 때문에 ‘부결’로 봐야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교수협의회는 당시 전체 투표자 130명(전임교원 86, 정규직 44명) 중 전임교원은 찬성 51, 반대 29, 기권 6으로 찬성 의견이 많았고, 직원 임금 문제는 법인과의 단체협약 사항이기 때문에 별개사안이라고 주장했다.
대학 본부도 교수협의회와 같은 입장이다.
한 대학 고위 관계자는 “직원들은 노조를 통해 학교 법인과 임단협을 체결하기 때문에 실제 삭감 여부는 투표와 별개”라며 “따라서 이번에 대학 측이 중요하게 결론을 구한 쪽은 본부와 임용계약서를 맺는 교수 측이었고, 교수진에서는 찬성이 압도적으로 많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교수와 직원의 투표함을 다르게 만든 것이 그 증거”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교내에서는 이번 투표를 놓고 여전히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44명 중 32명이 임금 삭감에 반대했던 직원 층에서는 재단의 비리에서 시작된 재정적 어려움이 장기간 직원들에게 전가되는 것에 대해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추후 직원들이 노조를 통해 법인과 협상을 진행하면서 교수들만큼 임금 삭감의 고통을 분담하지 않았을 때 교수와 직원 간 갈등을 우려하고 있다.
또, 이번 투표 결과가 여전히 ‘부결’이라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다.
대학 본부 측은 22일 이번 문제에 대한 대학의 입장을 담은 설명문을 내부 교직원들에게 전달할 계획이다.
한편 제주국제대는 지난해 옛 탐라대 매각 대금으로 416억 원을 확보했으나 체불임금 지급 등에 많은 예산이 들어가면서 재정난이 계속 되자 교직원들의 임금을 연봉제로 전환하고 기본급을 평균 20% 삭감하는 안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