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형상 목사 수고본 2점…18세기 제주 사회상 유추할 수 있는 사료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제주목사 이형상(李衡祥)의 ‘남환박물(南宦博物)’과 ‘탐라장계초(耽羅狀啓秒)’가 제주도 문화재로 지정됐다.
제주도 세계유산본부는 병와(甁窩) 이형상 제주목사의 수고본(手稿本, 본인이 직접 쓴 책)인 남환박물과 탐라장계초 등 2점을 ‘병와 이형상 관련 자료’란 명칭의 도 유형문화재 제34호로 지정 고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유형문화재 제34-1호로 지정된 남환박물은 1책 120쪽의 1714년(숙종 40)에 작성된 이형상의 필사본으로 북설습령(北屑拾零)을 덧붙여 작성된 제주도의 인문지리지이다. 해당 문화재는 보물 제652-5호로 지정된 남환박물지(南宦博物誌)와는 또 다른 이본(異本)이다.
제34-2호로 지정된 탐라장계초(耽羅狀啓秒)는 1702년(숙종 28) 이형상이 제주목사 재임 중 조정에 올렸던 장계(狀啓)를 추려 별도의 책으로 정리해 놓은 1책 124쪽의 필사본이다.
당시 문제시되었던 마정(馬政)의 적폐를 비롯해 제주도의 특산물 진상의 폐해 등 그동안 누적되어온 제주도의 사회경제적 폐단을 객관적으로 분석해 해결방안을 다양하게 제시해 놓고 있다.
이번 제주도 유형문화재 제34호로 지정 고시된 ‘병와 이형상 관련자료’는 숙종대인 18세기 초 당시 제주도의 사회상 전반을 유추할 수 있는 실증적 사료라는 점에서 문화재적 가치를 높게 평가받았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