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교통체계개편 대비’ 버스 공공성 확보 분주
道 ‘교통체계개편 대비’ 버스 공공성 확보 분주
  • 김승범 기자
  • 승인 2017.05.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버스운송조합 협약
표준운송원가제 도입 등

오는 8월 30여년 만에 제주 교통체계가 전면 개편되는 가운데 제주도가 버스 공공성 확보에 나섰다.

제주특별자치도는 19일 제주도버스운송조합 회의실에서 원희룡 지사와 서석주 버스운송조합 이사장을 비롯해 도내 7개 버스업체 대표이사 및 노조위원장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버스 준공영제 이행 협약식’을 개최했다.

이번 협약서에는 버스 준공영제의 성공적인 도입과 대중교통 편의를 높이기 위한 제주도와 버스조합의 운영사항이 포함됐다.

협약에 따라 표준운송원가제도가 도입돼 재정지원금이 보전되고, 운송수입금의 투명한 관리 및 배분·정산을 위한 ‘수입금공동관리업체협의회’가 구성될 전망이다.

특히 현재 버스 업체별 수익성 위주 노선 운영으로 인한 적자 노선 운영 기피, 노선 조정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 도입하는 버스 준공영제의 운영지침을 마련하고 수입금 공동 관리에 대한 사항이 명시됐다.

또 경영 및 서비스 평가 제도를 도입해 결과에 따라 성과이윤을 차등배분하고, 배차간쳑 및 안전운행 수칙 준수, 운수종사자 친절도 향상 도모 내용도 담겼다.

이번 준공영제에 포함되는 노선은 급행, 간선, 시내 지선으로 버스 대수는 총 652대(운행대수 599대)에 해당된다.

원희룡 지사는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재정지원 등 버스 준공영 제도의 안정화를 위해 온 힘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