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해군기지 건설과정에서 마을 주민들을 와해 시키고 국가 권력으로부터 폭력이 있었다는 증언들이 강정해군기지 반대 투쟁 10년을 맞아 또다시 나오며 진상조사를 요구하는 목소리에 힘을 보탰다.
강정마을회는 18일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강정해군기지 반대 투쟁 10년, 구럼비 기억행동 주간을 맞아 제주해군기지 건설과정 국가폭력을 주제로 ‘소도리팡 토크콘서트’ 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10년 동안 국가 권력으로부터 폭행, 피해를 받았던 피해자들이 나와 증언을 하고, 이후 자신의 견해를 밝히는 순서로 진행됐다.
지난 2011년 해군기지 공사 현장에서 크레인 조립을 방해 했다는 이유로 강제 연행됐던 강동균 전 강정마을 회장은 “해군기지는 법률적인 문제가 하나도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허가 없이 공사를 시작했다”며 “그렇게 경찰은 우리의 항의가 들어올 것을 알고, 사복경찰들을 배치해 항의가 시작되자 몰려들어 체포했다. 우린 공권력의 덫의 걸린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 해군기지 건설현장에서 반대 활동을 펼쳐 왔던 평화활동가 송강호 박사도 해군 SSU 대원으로부터 지난 2012년 수중 폭행을 당했다.
송 박사는 “‘장난 좀 치자’는 요원의 말에 위협을 느꼈다. 그들은 수신호를 하더니 물속에서 나를 발을 끼고 눌렀다”며 “그때는 내가 이러다 물속에서 죽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이어 “당시 현재 국회의원인 박주민 변호사도 누가 봐도 심각한 문제라며 고소를 하라고 권했지만, 군법회의로 넘어가 결국 무혐의로 종결됐다”며 “지금은 현실적으로 구상권을 청구할 때가 아니라 오히려 손해배상을 해군에 청구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마을 활동가인 오두희씨는 “강정에서 10년 동안 이뤄졌던 폭력은 한 개인의 심성이 나빠서가 아니”라며 “그들은 해군기지를 강행하기 위해서 조직적이고 치밀하게 우리에게 접근했고, 이 과정에서 한 개인의 존엄성은 없었다”고 꼬집었다.
오씨는 “해군은 용역이라는 대리인을 통해 우리를 감시하고 욕설을 하고 있는데, 이것은 국가가 민간인에 대한 폭력을 묵인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5월 9일 새 정부가 탄생이 됐다. 그리고 적폐청산 하자고 했다. 제주도의 적폐는 해군기지 문제”라며 “이 문제는 중앙정부 차원에서 진행해야 하고, 여기에 제주도는 숨겨진 자료를 정부에 제출해 진상조사를 해야 한다. 그리고 폭력적인 상황에 사과를 하고, 진상조사가 조속히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강 전 회장은 “법률에 의해 주민들과 소통을 하고 문제를 해결해 갔다면 10년이라는 세월이 걸리지 않았을 것이다”면서 “진상규명을 통해 우리에게 잘못이 있다면 책임을 지겠지만 그보다 먼저 국민과 지역 주민들이 이해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진정한 국가적 진상조사를 하려면 먼저 그동안 행정이 잘못한 것들을 꺼내놔야 한다. 강정의 10년 아픔을 원희룡 도지사부터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해야한다”며 “본인이 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사과를 하고 수많은 자료들을 투명하게 공개 해야 한다. 그래야 진상조사가 시작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해군은 강정마을 회장 등 마을 주민 121명을 상대로 공사 지연의 책임을 물어 34억 5000만원의 구상금 청구소송을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