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귤’ 지속가능한 생명산업으로
‘감귤’ 지속가능한 생명산업으로
  • 진기철 기자
  • 승인 2017.05.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재인 시대 제주 현안 해결 기대
<3> 제주도 1차산업의 경쟁력 강화 지원

식품가공단지 조성 농가 부가가치 확대
제주농산물 해상 운송비 50% 국가 지원

문재인 대통령은 이번 대선에서 감귤산업을 포함해 제주지역 1차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약속하면서 농가들이 거는 기대감이 크다.

현재 제주 감귤산업은 전국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생명산업이지만 감귤나무 고령화와 FTA 등 시장 개방화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감귤혁신 5개년 계획이 올해 3년차를 맞은 가운데 일부 사업 추진이 지지부진한 데다 시장 환경이 급변한 만큼 대대적인 점검을 통한 보완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 문 대통령은 감귤원 원지 정비 및 신품종 보급을 통해 감귤을 제주의 지속가능한 생명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약속했다.

수령 40년 이상의 감귤나무가 식재된 감귤원과 1970년대 이전 조성된 감귤원을 우선적으로 정밀실태조사를 벌인 뒤 단계적인 정비사업을 추진하겠다는 것. 또 주요 재배품종으로는 고품질 감귤생산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인식, 감귤 신품종 육성을 위한 보급체계 구축과 국산 신품종으로의 교체에 따른 소득감소 보전 필요성도 공감했다.

이와 함께 식품가공단지 조성 등 농산물 가공산업을 육성해 농업의 부가가치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제시했다. 이를 위해 계약재배를 통한 가공물량의 사전 확보, 식품가공생산을 위한 기본원료 생산가공단지 조성, 고부가가치 창출 식품 원료 생산, 원물생산에서부터 가공·완제품 생산라인을 구축하겠다는 방안을 내놨다.

아울러 제주농산물 해상 운송물류비 지원도 약속했다.  이 공약은 지역 내 1차 산업 종사자들의 숙원사업이기도 하다. 제주의 생명산업인 감귤과 전국 시장점유율 50%이상을 차지하는 밭작물은 우리나라 전체 농산물 시장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는 주요 작물이다. 제주농산물 총 생산량은 149만t(채소 72만t, 과수 71만t, 식량·특용 6만t)으로 대부분 선박에 의존하고 있어, 물류비 지원이 요구돼 왔다.

문 대통령은 농가 소득보전을 위해 제주농산물에 대한 해상운송비 중 50%를 국가가 지원하겠다고 약속하면서 주목된다. 구체적으로 2018~2022년까지 국비 1850억원, 도비 1110억원, 자부담 740억원 등 3700억원의 예상 소요액까지 제시했다.

지난 대선 당시 제주 관련 공약 중 하나가 농산물 해상물류비 지원이었지만 지켜지지 않았다. 문 대통령의 해상물류비 지원 공약은 제주도가 앞선 정부에도 제안한 사항들이어서 이번 정부에서는 실현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