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오라관광단지 조성사업의 분수령(分水嶺)이 될 ‘대도민 토론회’가 12일 오후 도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린다. 이번 토론회가 주목받는 것은 여기서 제기된 내용들을 수렴해 향후 도의회가 안건 심의의 판단 근거로 삼을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제주지역사회의 ‘뜨거운 감자’인 오라관광단지 사업은 그동안 특혜 의혹 및 환경파괴 등 각종 논란이 불거져왔다. 이번 토론회에서도 중산간 지역 환경훼손과 절차상 특혜, 투자금 실체(實體) 의혹 규명 및 지역상권 악영향 등의 각종 문제를 둘러싸고 치열한 난상토론이 예상된다.
대도민 토론회를 주관하는 환경도시위원회(위원장 하민철)는 사업자를 배제시킨 채 도의원과 학계, 시민단체와 지역주민, 관계공무원 등만 토론회에 참여토록 하고 있다. 특히 찬·반 논란이 첨예한 만큼 토론에 참여하는 패널도 비밀에 붙였다. ‘로비’가 오갈 소지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조치다.
도의회는 토론회에서 제기된 제반 의견들을 취합하는 한편 오는 15일부터 열리는 제351회 임시회 안건으로 환경영향평가 동의안을 상정한다. 환도위는 지난 4월 열린 임시회에서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안건 상정을 보류했었다.
제주오라관광단지 조성사업 추진 주체(主體)는 중국자본 중심으로 구성된 JCC(주)다. 제주시 오라2동 산 56-2 일대 353만9341㎡ 부지에 2021년까지 총 6조2800억원을 투자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다. 제주지역 단일 개발 사업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다.
더욱이 오라관광단지 개발예정지는 제주의 핵심 중산간 지역인 한라산국립공원 턱 밑 해발 350~580m에 위치해 있다. 그만큼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 만에 하나 사업을 추진하다가 잘못될 경우 환경파괴 등 그 후유증(後遺症)이 엄청날 것으로 예견되기에 더욱 그렇다.
도의회가 지금 고심하는 부분도 바로 이 지점일 것이다. 이번 대도민 토론회가 주목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번 토론회는 지엽적인 문제가 아니라 보다 거시적인 차원에서 허심탄회하고 심도 있는 토론이 이뤄져야 한다. 이를 이어받아 안건을 다룰 도의회의 책무가 아주 막중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