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당선인은 재수끝에 감격스러운 대선 승리를 거뒀지만 숨돌릴 틈도 없이 국정에 임해야 한다.
통상 대통령 취임식은 12월에 새 대통령이 뽑히면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주도해 다음 해 2월 25일에 국회의사당 앞 광장에서 귀빈을 초청해 진행됐다.
그러나 이번 선거가 조기 대선으로 치러진 탓에 대통령직인수위원회를 꾸리지 못하고 바로 국정 운영에 착수해야하는 만큼 대통령 취임식은 곧바로 치르기가 어렵다.
그 대신 취임식에서 이뤄졌던 취임선서를 10일에 국회에서 하는 것으로 취임절차를 마무리 짓고 공식 업무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문 당선인은 당선에 대비해 선대위 차원에서 취임 절차를 의논한대로 국회 본회의장 앞 중앙홀(로텐더홀)에서 오늘 낮 12시 취임선서를 한다.
이 경우 당선인이 당선증을 수령하는 방식도 그에 맞춰 바뀌어야 한다.
김용덕 중앙선관위원장이 직접 문 당선인에게 당선증을 전달할 확률이 높은데 그 장소는 취임선서 장소가 유력한 국회가 될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선서와 함께 당선증을 받고 업무를 시작하는 시나리오로, 이곳에서 취임선서를 진행하는 것은 새 정부와 국회의 협치를 강조하는 의미가 담길 수도 있다고 문후보 측은 설명했다.
곧바로 임기가 시작되지만 취임식을 아예 치르지 않을 수는 없을 것이라는 게 정치권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문 당선인 측 역시 늦더라도 새 정부의 출범을 공식적으로 알리는 자리는 어떤 형태로든지 필요하다는 데 이견이 없어 보인다.
문 당선인 측 관계자는 “한 달 정도 뒤에 ‘촛불민심’을 상징하는 광화문에서 새로운 정부의 출범을 공식적으로 선언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면서 “외교 관계개선 등을 고려해도 취임식은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