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국정교과서 담당부서 이달 말 해체 전망
교육부 국정교과서 담당부서 이달 말 해체 전망
  • 제주매일
  • 승인 2017.05.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시조직 역사교육정상화추진단, 학교정책실 편입될 듯

박근혜 정부에서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추진했던 교육부 역사교육정상화추진단이 이달 말 해체될 것으로 보인다.

7일 교육부 관계자는 “역사교육정상화추진단은 애초부터 올해 5월 말까지 있을 한시조직으로 출발했다”며 “완전히 없어질지 팀 단위로 남게 될지 여부 등은 조직개편과 맞물린 문제라 아직 뭐라고 이야기할 수 없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2014년 1월 학술단체의 한국사 연구 지원 등 역사교육 강화 업무를 위해 태스크포스 형태의 역사교육지원팀을 신설했다.
       
당시 교육부에 특정 교과를 지원하는 조직은 융합교육팀(수학·과학), 영어교육팀(영어), 인성체육예술교육과(음악·미술·체육)에 이어 역사교육지원팀이 네 번째였다.

교육부는 2015년 11월 이 역사교육지원팀을 2개팀, 20여명의 직원을 둔 역사교육정상화추진단으로 확대·개편하고 2017년 5월까지 한시적으로 운영한다는 내용의 총리 훈령을 공포했다.

하지만 역사교육정상화추진단은 이후 교원 연수 지원과 역사 왜곡 대책 수립 업무 외에 중학교 역사·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업무를 주도하며 정치권과 학계, 시민사회단체로부터 적지 않은 비판을 받았다.

특히 각계의 반발로 국정교과서 현장적용을 1년 유예하기로 하면서도 원하는 학교는 ‘연구학교’로 지정한 뒤 국정교과서를 2017년부터 주교재로 쓰도록 하겠다고 발표해 ‘꼼수’ 논란을 빚기도 했다.

교육부 내부에서는 역사교육정상화추진단이 해체되고 기존에 역사교육지원팀이 소속돼 있던 학교정책실이 이 업무를 흡수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역사교육정상화추진단이 국정교과서 업무 외에 동해·독도 홍보활동을 비롯한 역사 왜곡 대응 업무를 해왔기 때문에 일본의 독도 도발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팀 단위 조직으로 남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도 보고 있다. <연합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