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사의 가장 큰 비극 중 하나인 ‘제주 4·3사건’이 내년이면 70주년을 맞는다. 그러나 4·3희생자에 대한 배·보상 문제를 비롯해 4·3수형인(受刑人)에 대한 명예회복 및 4·3행방불명인에 대한 유해 발굴 등 숱한 과제가 아직 남아 있다.
제19대 대통령선거를 맞아 보수 진보를 가리지 않고 각 당 대선(大選) 후보들이 ‘제주4·3의 완전한 해결’을 강조하고 있다. 그동안 이명박·박근혜 정부를 거치며 다소 홀대받았던 ‘4·3’이, 이번 대선을 기점으로 완전 해결을 위한 새로운 전기가 마련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4·3 문제 해결에 가장 적극적인 이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다. 문 후보는 “4·3의 완전한 해결은 전적으로 국가의 책임”이라며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이 완전히 이뤄지도록 필요한 입법 조치를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언제든지 희생자와 유족이 신고할 수 있도록 하고 실질적인 지원을 확대하겠다. 특히 희생자에 대한 배·보상은 완전한 명예회복을 위한 조치임을 강조하고, 화해와 상생을 위한 치유프로그램 마련에도 힘을 보태겠다고 밝혔다.
강정마을 구상권 청구소송과 관련 ‘불법 집단행동엔 무(無)관용이 원칙’이라고 주장했던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도 제주4·3에 대해선 진일보한 모습을 보였다. 홍 후보는 “4·3특별법 제정에 함께 한 적이 있다”고 거론하며 “집권하면 아직도 풀지 못한 문제 해결 및 대통령 자격으로 4·3추념식에 참석하겠다”고 약속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4·3은 평화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산 역사다. 모든 능력을 다해 평화로 가는 길을 열겠다”며 “4·3 유족 찾기 등 화해(和解)와 상생(相生)을 위한 국가지원을 확대하고, 희생자 배·보상 문제도 적극 검토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와 정의당 심상정 후보 역시 특별법 제·개정을 통해 희생자와 유족들에 대한 충분한 배상 과 보상 등 제주4·3 제반 과제들을 적극 해결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제주4·3은 이제 화해와 상생의 상징이자 과거사 청산의 모범으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4·3은 상당 부분이 ‘미완(未完)’의 상태로 남아 있다. 이번 대선 후보들의 공약이 공허한 공약(空約)으로 끝나지 않고, 사건 발생 70주년을 맞는 새해 ‘유종의 미’를 거두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