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에 전기자동차 폐배터리 재사용을 위한 센터가 구축되고 전기차 충전인프라 기반 실증사업이 진행된다.
2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전기차 폐배터리 재사용 센터 구축’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기반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실증 사업’ 등이 정부 공모사업에 선정됐다.
이에 따라 전기자동차 보급 위주의 정책에서 벗어나 다양한 전기차 연관 산업의 유치 확대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이 기대된다.
제주도는 우선 전기차 패배터리 재사용센터가 구축되면 전기차의 전 주기 라이프사이클을 반영한 보급·이용·재사용·가치 확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첨단과학단지 내 디지털융합센터 여유부지에 들어서는 재사용센터는 올해부터 2019년까지 3년간 사업비 189억원(국비 86억원, 도비 98억원, 민자 5억원)이 투입된다. 재사용센터를 비룟해 수납공간 등 4000㎡ 규모로 구축된다.
이를 통해 제주도는 배터리 진단사 등 간접고용을 포함해 200여명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는 한편 전기차 중고시장 활성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제주도는 제주테크노파크와 함께 배터리 재사용 검증을 위한 분석장치, 배터리 검사 시스템 등의 ESS(에너지저장장치) 시험평가 환경을 구축하고 재사용 배터리의 등급판정 기준 국내표준을 제정과 국제 표준 제안도 추진할 방침이다.
아울러 배터리 등급별 활용 분야 및 사업 모델을 발굴하고, 폐배터리 판매를 통해 수익도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제주도는 신재생에너지 및 ESS 기반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실증 사업을 통해서는 신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력을 전기차에 충전하고 잉여전력은 판매하는 에코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실증에 나선다.
이 사업에는 40억원이 투입된다. 제주시 구좌읍 행원리 신재생에너지홍보관과 주변 부지를 활용해 내년 3월 준공을 목표로 추진되며, 태양광(0.5㎿), ESS(1㎿), 급속 충전기 10기, EV카페 및 퍼스널 모빌리티 체험 공간 등을 마련할 예정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이번 2개의 공모사업을 통해 전기차 보급위주의 정책에서 연관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정책으로 전환하게 됐다”며 “성공적인 모델 실증을 통해 제주도 기반산업으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