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는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 2단지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2단지 지정 및 개발계획이 고시됐다. 2단지는 기존 1단지와 동쪽으로 인접한 제주시 월평동 일대 84만8163㎡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제주시 영평동 일원 110만㎡에 조성된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 ‘1단지’ 산업시설용지 분양률이 90%를 웃도는 등 포화 상태를 보이고 있다는 게 JDC 측의 추진 이유다. JDC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문제는 땅이다. 아무리 취지가 좋고 목적이 숭고해도 부지가 없으면 사업을 할 수가 없다.
그런데 JDC가 바로 그 상황이다. 첨단과기 2단지 내 개발면적의 80%의 토지주 179명으로 구성된 반대협의회는 지난 28일 ‘첨단과학기술단지 개발은 JDC의 땅 장사다’라는 기자회견을 열고 2단지 개발사업에 대한 JDC와의 협의 중단을 선언한 것이다.
반대협의회는 “JDC가 토지주들을 무시하고 반대협의회 자체를 인정할 수 없다며 불성실한 태도로 고압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어 JDC의 협의는 더 이상 무의미하다”고 밝혔다. 이들은 “지난 1월 이광희 JDC 이사장은 주민·토지주의 동의와 설득이 없는 개발 방식은 추진할 생각도, 그럴 수도 없다”고 말했었다며 JDC의 ‘이중적’ 행태를 지적했다.
이유를 막론하고 이러한 사태를 초래한 JDC를 탓하지 않을 수 없다. 반대협 주장의 진위여부를 떠나 JDC에 대해 불신 가득한 주민들의 시선이 더욱 문제다.
반대협은 JDC가 반대협을 무산시키려 토지주들을 개별적으로 만나 이간질 시킨다고까지 분노했다. 더욱이 “토지주들의 재산권을 묵살하고, 강제로 토지를 헐값에 수용해 막대한 부동산 수익을 얻으려는 JDC의 속셈”이라고 의심하고 있다.
JDC의 진정성 있는 ‘협의’를 촉구한다. 반대협 측도 JDC가 진정한 노력을 보이게 되면 다시 협의할 수도 있다고 문을 완전히 닫지는 않았다.
당연히 먼저 다가가야 할 쪽은 JDC다. ‘공익’을 명분으로 한다고 하지만 남의 땅에 자기 사업을 하겠다고 나선 JDC다. 그렇다면 땅 주인을 설득할 수 있어야 한다. 창립 15년을 맞는 JDC에 대해 공공성보다는 수익성, 보존보다는 개발, 도민과의 공감대 형성 부족 등이 지적되고 있음도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