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합연령반 개선 제안에 “어렵다” 말만 반복

이석문 제주교육감이 현장에서 불만이 잇따르는 병설유치원 취원 연령 제한(동지역)과 혼합연령반 운영(읍면지역) 등 현행 유아교육 정책에 대해 기존 방침을 고수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내실있는 유아교육의 여건을 만들어가겠다”고 답하면서도 현재의 정책에 대한 개선 요구의 목소리에는 요지부동의 모습을 보였다.
이 교육감은 13일 열린 제주도의회 제350회 임시회 제5차 본회의 교육행정질문에서 김황국(바른정당, 용담1·2동), 고용호 의원(더불어민주당, 성산읍) 등이 유아교육법을 거론하며 동지역 취원 연령 제한 정책을 문제 삼자, 현실적 여건을 이유로 변경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이 교육감은 “수요조사결과 공사립 유치원 정원보다 취원 희망자가 더 많아 올해부터 동지역의 경우 학교 입학을 앞둬 취원이 필수적인 만5세반만 운영하기로 결정했다”며 “그보다 어린 아이들은 가정이나 어린이집에서 보육을 하는 것이 맞다”는 기존의 입장을 되풀이했다.
또, 학생 수가 적어 혼합연령으로 운영중인 읍면지역 병설유치원을 하나로 묶어 연령별 수업이 이뤄지도록 하자는 고용호 의원의 제안에도 “어렵다”고 답했다
이 교육감은 “아이들은 집과 가까운 거리에 있는 병설유치원에 가는 것이 맞다”며 “읍면지역은 관할 범위가 넓어 통합시 아이들이 원거리 통학을 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고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했다.
이에 고용호 의원은 “혼합연령반의 경우 나이에 맞는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않는다”며 “읍면지역 유아들에게도 통학의 편의만큼이나 교육의 질이 중요하다”고 맞섰다. 그러면서 “성산읍내 7개의 병설유치원이 있는데 거리가 그리 멀지 않다”고 반박했다.
이 교육감은 단설 유치원 설립과 유보통합 등 현행 유아교육의 개편에 대해 전체적으로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이 교육감은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통합하는 유보통합에 대해서는 아직 논의할 단계가 아니"라고 답했고, 단설유치원에 대해서는 "장기적으로 검토 해보겠다”는 소극적인 답변으로 대처했다.
이에 김황국 부의장은 “이 교육감은 공교육을 강조하면서도 초점은 초, 중등학교에 두고 있다”며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미래 인재를 키워낸다는 관점에서도 서울처럼 유아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질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