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시위가 제주에서도 시작된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고(故) 이순덕 할머니가 전날 아침 별세하면서 이제 38명의 할머니만 생존해 있는 만큼 일본 정부의 공식 사죄 요구에 대한 목소리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제주도내 22개 단체로 구성된 한일 ‘위안부’ 합의 무효와 정의로운 해결을 위한 제주행동(이하 제주행동)은 5일 주제주 일본국총영사관 일대에서 제주 수요시위 첫 시작을 알렸다.
제주행동은 “일본정부는 일본 교과서에 2015한·일합의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최종적·불가역적으로 해결됐다고 실어 학생들에게 일본정부의 책임이 사라진 것처럼 교육하려 하고 있다”면서 “제대로 사죄·배상하지도 않은 채 역사에서 자신들의 전쟁 범죄를 지우고 또다시 전쟁을 하기 위한 준비를 해나가고 있다”고 비난했다.
제주행동은 “할머니들에게 사과와 용서를 구해야 할 외교부는 일본에 대한 ‘국제예양 및 관행’을 운운하고 평화비를 철거할 것을 종용하기도 한다”며 “새로운 정부는 반드시 잘못된 2015한일합의를 파기하고, 일본 정부의 책임 있는 사과를 우선 과제로 하는 정의로운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일본정부에 ▲일본군성노예제 범죄 인정 ▲피해자들에 공식사죄 및 국제법에 따른 배상을 요구하고, 한국정부에 일본군성노예제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을 위해 적극 앞장 설 것을 촉구했다.
1992년 1월 8일 미야자와 전 일본 총리의 방한을 계기로 시작된 수요시위는 매주 수요일 낮 12시 정각이 되면 서울 종로구 중학동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리며, 오늘로 1277번째다. 앞으로 제주에서도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진상규명과 책임이행 등 문제해결, 명예회복을 위해 매주 수요일 낮 12시부터 1시까지 일본 총영사관 일대에서 제주 수요시위를 개최할 예정이다.
제주여성인권연대 고명희 대표는 “대선을 앞두고 있는 만큼 한일 합의 무효 문제는 향후 대선 주자들이 주목해야 할 문제”라며 “그동안은 제주시청이나 방일리 공원 인근에서 집회나 행동들을 해왔지만, 앞으로는 좀 더 적극적으로 일본 정부의 책임을 묻고 구체적인 해결을 이끌어 내기 위해 자리를 옮겨 수요시위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현장에서는 국내 주재 외국 외교기관 경계 지점으로부터 100m 이내에서는 집회가 금지 됐다는 이유를 들며 제주경찰 정보과 직원 등 10여명이 집회를 저지하며 장소 이동을 요구하는 등 주최 측과 잠시 실랑이를 벌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