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한라산국립공원 남벽탐방로를 재개방하려하자 제주 시민사회 단체가 ‘무리수를 둔 반환경적 계획’이라고 반발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5일 성명서를 통해 “한라산 남벽 탐방로 및 정상순환로 개방은 한라산 보전의 원칙과 타당성을 상실한 계획으로 문제점과 개방 불가의 이유를 갖고 있다”며 “노선에서 영구 폐쇄하라”고 촉구했다.
1994년부터 출입이 통제되고 있는 한라산 남벽탐방로 구간은 빠르면 올해 하반기부터 재개방 될 예정이다. 남벽 탐방로가 개방되면 기존 2개 탐방로(성판악·관음사)를 포함해 5개 탐방로(어리목·영실·돈내코)에서도 한라산 정상 등반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남벽탐방로 구간은 지속적인 환경 훼손 진행 가능성이 높은 곳으로써 제주도가 재개방을 추진하자 논란이 일었다.
이날 환경운동연합이 제시한 제주도 환경자원연구원의 ‘한라산자연휴식년제 등산로 학술조사 보고서(2009년)’에 따르면 남벽분기점에서 남벽정상에 이르는 구간은 복원 후에도 탐방객들의 인위적인 간섭 등에 의해 훼손 잠재력이 매우 높아 장기적으로 한라산국립공원 계획상 등산로 대상 범위에서 제외시키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이에 대해 환경운동연합은 “재개방은 물론 탐방로에서 영구적으로 폐쇄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주도 당사자가 내놓고는 이제와서 자신들이 만든 조사보고서와 전혀 다른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탐방객 집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과도한 이용자 수를 관리하는 수요관리 정책인 탐방예약제 또는 종량제 시행 등이 있다”며 “또 다른 탐방로를 제공해 분산시키겠다는 계획은 과거 실패한 정책을 재현하는 것일 뿐”이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