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교재 제작 ‘꼬리에 흔들린 몸통’ 논란
4·3교재 제작 ‘꼬리에 흔들린 몸통’ 논란
  • 문정임 기자
  • 승인 2017.04.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교육청 야심찬 홍보 불구 인쇄물량 절대 부족 학급당 1권 배부도
수의계약 최고액 맞춘 결과…“출판사 자료 많아” 해명 불구 ‘찜찜’
▲ 초등용 4.3교재 표지

"4·3교재를 개발했다고 해서 기대했는데 우리 아이는 책을 안 받아왔어요.”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야심차게 4·3 보조교재를 개발하고는 대부분의 학년에 학급당 1권 정도만 배포한 것으로 확인됐다. 교육을 통해 4·3을 전국에 알리겠다며 추념식에 타 지역 교육감까지 초청한 ‘열혈 행보’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도교육청은 깊이 있는 4·3교육을 위해 학교 급별 4·3교재 개발에 착수, 지난달 20일 완성 본을 공개했다. 책은 초등용 교재와 지도서, 중등용 교재 등 3권으로 제주지역 교사와 4·3 관계자들이 집필, 감수에 대거 참여했다.

도교육청은 오는 8일까지로 예정된 4·3평화인권교육주간, 일선학교에서 이 교재를 적극 활용할 것이라고 홍보했다.

당시 이석문 교육감도 기자실을 찾아 책 발간 소식과 함께 기대를 전했다. 특히 이 교육감은 지난 3일 제69주년 제주4·3희생자 추념식에 서울·경기·충남·세종 교육감을 초청하는 유례없는 성과를 내며 4·3전국화에 열의를 내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새롭게 발간한 4·3교재는 초등학교 6학년을 제외하고는 학급당 1권 정도로 적은 수만 배포된 것으로 확인됐다.

도교육청에 따르면 초등용 교재는 5학년은 학급당 1권, 6학년은 개인별 1권 배부했고, 중등용 교재는 도내 모든 중·고등학교에 대해 25학급 이하 학교는 10권, 26학급 이상 학교에는 20권을 일괄 배부했다.

도교육청은 이처럼 배부권수가 적은 이유에 대해 교재개발위원들이 원하는 출판사와 계약을 하려다보니, 수의계약 최고액 이하로 맞추기 위해 적게 인쇄할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해당 출판사에 4·3자료가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도교육청은 추경 예산 확보를 통해 연내 재인쇄를 실시, 학생들에게 모두 책이 돌아갈 수 있도록 조치할 예정이라는 계획도 덧붙였다.

하지만 학부모들은 이번 4·3교재 발간의 핵심 대상이 학생이었고, 4·3계기교육이 대개 평화인권교육주간에 이뤄진다는 점에서, 소리에 비해 내실이 약했다고 지적한다.

학부모들은 “책이 얼마나 쉽게 나왔을 지 기대가 컸는데 4·3주간이 거의 끝나도록 책이 오지 않아 아쉬웠다”고 입을 모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