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희생자유족회’ 회장을 지냈던 김두연(73)씨. 함덕리가 고향인 그는 해마다 4월이 돌아오면 가슴이 먹먹해진다. 슬프고도 뼈저린 가족사를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가 걸음마를 떼고 막 말문을 열기 시작했을 무렵인 1948년 음력 12월 추운 겨울날, 스물 한 살이던 큰 형은 함덕초등학교에 주둔했던 2대대 군인들에 의해 총살됐다. “자수하면 살려준다고 했다”는 아버지의 말을 따라 자수한 직후였다. 이유라고는 산에 오고간 죄 밖에 없었다.
아버지도 그 광경을 피눈물을 삼키며 숨죽여 지켜봐야만 했다. ‘광풍(狂風)’이 몰아친 이틀 후 아버지는 아무도 몰래 싸늘하게 식은 아들의 주검을 업고 마을 인근 군유지에 마치 아이 묘처럼 만들어 매장했다. 총살된 시체는 가져가서도 안 된다는 ‘하수상한 시절’이었다.
김씨 가족의 비극(悲劇)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다음해 음력 3월, 산에 두고 온 우비를 찾으러 갔던 아버지는 ‘산사람’들에게 잡혀 선흘리의 38m 깊이 수직 동굴에 던져졌다. 큰 형은 군인들에 총살되고 아버지는 이른바 ‘공비’들에게 희생당하는, ‘기구한 운명의 장난’이었다.
막내 아들인 두연씨가 유골(遺骨)로나마 아버지를 다시 만난 것은 그로부터 37년이 지난 1985년이었다. 남겨진 김씨의 어머니와 4형제는 69년의 세월을 그렇게 살아왔다. 그리고 이제 일흔 살을 넘긴 초로(初老)가 되어 똘망똘망한 아이들을 대상으로 ‘4·3교육’ 강단에 섰다.
28일 북촌초등학교 3~6학년 45명을 상대로 강연에 나선 김두연씨는 자신의 가슴 저미고 아픈 성장사 및 가족 이야기와 함께 ‘제주4·3’이 제도권 안으로 들어오게 된 힘겨운 과정 등을 들려줬다.
김씨 외에도 희생자 유족 29명이 1일 명예교사로 도내 84개교에서 제주4·3의 참상과 앞으로 우리가 나아갈 방향 등을 이야기했다. 도교육청이 마련한 ‘제주만의 4·3교육’ 일환이다.
제주4·3사건은 한국 현대사의 최대 비극 중 하나다. 하지만 70년이란 세월이 흐른 지금도 아직 미완(未完)으로 남아 있다. ‘용서는 하되 잊지는 말자’는 다짐은 아픈 역사를 극복하고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의지의 표현이다. 때문에 우리 후세들에게도 ‘증오’보다는 ‘화해(和解)와 상생(相生)’을 말해야 한다. 그것이 제주4·3이 주는 교훈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