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9주년 제주4·3희생자 추념일을 앞두고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도의회, 제주도교육청, 4·3관련단체와 시민사회가 4·3의 완전한 해결을 위해 한 자리에 모였다.
특히 정부와 국회에 4.3희생자 배·보상, 수형인에 대한 명예회복, 행방불명인 유해발굴 등을 촉구하고 나섰다.
원희룡 제주도지사, 신관홍 도의회 의장, 이석문 제주도교육감, 양윤경 제주4·3희생자유족회장, 이문교 제주4.3평화재단 이사장은 21일 오전 제주도청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원희룡 지사는 “이제 4·3은 어두운 터널을 지나 진실과 화해의 빛을 찾아가고 있다”며 “제주도민들과 4·3유족들의 노력으로 4·3사건법 제정, 정부차원의 진상보고서 채택, 대통령의 공식 사과, 국가추념일 지정 등 4·3해결의 중요한 열매들을 맺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신관홍 의장은 “4·3 69주년을 앞두고 4·3의 남은 과제 해결과 제주미래에 책임 있는 기관과 단체장들이 함께 한 자리에 모였다”며 “제주도와 제주도의회를 비롯해 제주도교육청, 4·3 관련 단체들은 4·3의 가치와 의미를 도민과 국민들께 전하기 위해 머리를 맞대고 있으며, 제주4·3 70주년 범국민위원회도 조만간 구성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양윤경 제주4.3희생자유족회장은 “제주4.3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중앙정부와 국회에서 소중한 역할을 해줬지만, 진정한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과제가 아직 많이 남았다”며 “희생자에 대한 배·보상 문제를 비롯해 4·3수형인에 대한 명예회복, 4.3행방불명인 유해발굴 등 남은 과제에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부탁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