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진흥기금 상환 유예…35개 단·중기 계획도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추진으로 중국이 우리나라 관광을 금지한 데 따른 위기 극복을 위해 도내 관광 사업체에 대한 경영안정 자금 지원과 그랜드 세일 등이 이뤄진다.
제주특별자치도는 도민 피해 지원 및 위기극복을 위한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21일 발표했다.
제주도에 따르면 도민 피해 지원을 위해 관광진흥기금 원금 상환 1년 유예와 경영안정자금 지원 대상 확대 등이 이뤄진다.
1년 유예 관광진흥기금은 현재 상환 중이거나 거치기간 1년 미만인 융자금이 대상이며 957건 3959억원에 이른다. 유예 희망 업체가 다음달 3일부터 오는 5월 22일까지 해당 융자 취급 은행에 신청 시 적격 여부 심사를 거쳐 5월 31일 결정된다.
업체당 최고 5억원까지 1년 거치 3년 상환 조건인 경영안정자금 특별융자는 300억원 규모다. 기존 지원 업종(25개) 외에 중국 관광객 감소로 직접적인 피해가 예상되는 전세버스업과 사후면세점업 등이 추가된다. 다음 달 3일부터 14일까지 접수해 24일 대상을 확정한다.
제주도는 또 관광산업 위기 극복을 위해 10대 핵심 중점대책과 3대 분야 25개 단기 대책, 10대 중장기 대책 등을 마련하고 추진하기로 했다.
주요 내용을 보면 4월 한 달 동안 국내·외 관광객 유치 분위기 조성을 위해 ‘제주여행 초대전(展)’을 열어 도내 축제와 연계한 ‘그랜드 세일’을 진행한다. 4월 주요 축제는 ▲왕벚꽃 축제 ▲유채꽃 축제 ▲우도소라 축제 ▲한라산 청정 고사리 축제 등이다.
제주도가 운영하는 28개 공영관광지를 무료 개방하고 관광협회를 중심으로 한 숙박업, 사설 관광지, 기념품업, 골프장, 관광식당 등이 참여해 최저 5%에서 최대 65%까지 할인 행사를 한다.
이와 함께 일본 3개 노선, 대만 1개 노선, 동남아 2개 노선 등 4개국 6개 노선의 제주 직항 정기 항공노선을 개설하고 정기노선이 없는 지역의 잠재 관광객 유치를 위해 8개국 9개 노선의 직항 전세기를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제주도는 이 외에도 중앙부처와 국회 등에 중국의 조치에 따른 제주 관광 피해 지원과 제도개선 등을 건의했다. 원희룡 지사가 지난 13일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과 김영석 해양수산부장관을 만났고 16일에는 유동훈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을 만났고 제주도 당국도 이 기간 더불어민주당과 바른정당 등에 건의 사항을 전달했다.
한편 원 지사는 이날 주간정책회의에서 “중장기적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적극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수용태세를 갖추기 위해 노력해야 할 때”라며 “앞으로 중장기적 개척과제에 대해 기확관실을 중심으로 집중적인 연구와 과제 발굴, 그리고 현안 취합 등을 통해 가시적인 진전을 이뤄낼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