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중국인 관광객 한국관광 금지에 따른 관련 현안 보고’
의원들 “시장 다변화 및 수용태세 개선에 도정 안일하게 대처”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 방어제계) 배치에 따른 중국 정부의 한국관광 금지 보복 조치로 도내 관광업계 피해가 현실화된 가운데 제주도정의 안일한 대처가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문화관광스포츠위원회(위원장 김희현)는 14일 오전 2차 회의를 속개해 전성태 제주도 행정부지사 등을 출석시켜 ‘중국 관광객 한국관광 금지에 따른 현안 대책’을 보고 받았다.
이날 문광위 소속 의원들은 원희룡 제주도정의 안일한 대처에 대한 지적과 함께 시장 다변화의 시급성을 한 목소리로 주문했다.
이기붕 이원(자유한국당, 비례대표)은 “2015년 메르스 사태 때나 일본 관광객이 했을 때도 시장 다변화를 주문했었다. 이번 사태가 제주관광산업에 대한 자성의 기회가 됐으면 한다”며 “전세버스 등 순수 도내 토종업체의 피해가 우려되는 만큼 이에 대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태석 의원(더불어민주당, 노형 갑)은 “사드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게 하루 이틀이 아니다. 지난해부터 정부에서는 하나같이 사드로 인한 경제보복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고, 원 지사 역시 극단적으로 몰고 갈 필요가 없다 없다고 전망했다”며 “도내 관광객이 85%를 중국인이 차지해 의회에서는 다변화 노력을 지속적으로 주문했다, 그러나 도정의 노력이 없었고, 위기감 인식도 부족했고, 대처도 안일했다”고 지적했다.
이선화 의원(바른정당, 삼도1·2동, 오라동)은 “중국 관광은 정치적 입장에서 자유로울 수 없으니 한 바구니 집중을 우려했다”며 “더 큰 우려는 중국 미래 세대들이 제주와 한국에 대해 부정적 인식이 각인된다는 것이다. 어떻게 긍정적 메시지를 발신할 것인가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명만 의원(더불어민주당, 이도2동 을)은 “제주관광을 보면 너무나 중국에 편중돼 있었다. 전체 외국관광객의 85%가 중국관광객이었는데 시장다변화에는 미흡했다”며 “제주도가 접근성을 개선해 동남아 관광객을 유치하겠다고 하는데 동남아에서 과연 바다를 보러 제주에 오겠냐. 동남아에서 오는 것은 한류나 패션분야다. 어떤 식으로든 제주에 연결을 시키는 방법을 연구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희현 위원장(더불어민주당, 일도2동 을)도 “수용태세 개선은 진작 했어야 했다. 동남아 관광객 유치해야 한다고 하는데 안내할 안내사도 없다”며 “다변화, 다변화 하는데 말뿐”이라고 꼬집었다.
전성태 행정부지사는 “전문기관들과 논의를 하고 대책을 다듬는 중”이라며“정부 계획까지 포함해 금주 중 종합계획 마련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