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들어 제주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급감한 반면 내국인 관광객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정부가 ‘사드 보복’의 일환으로 자국민의 한국관광을 전면 금지하면서 중국인 관광객의 발길의 끊길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내국인 관광객이 그 틈을 메워줄 수 있을 지 귀추가 주목된다.
12일 제주도관광협회에 따르면 지난 1~11일 제주방문 외국인 관광객은 모두 5만1450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32.3% 감소했다. 중국 정부의 한국관광 금지조치 영향 때문으로 분석된다.
반면에 이 기간 제주를 찾은 내국인 관광객은 31만4234명으로 전년에 비해 15.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월 내국인 관광객 증가율 4.9%보다 3배 이상 높은 실적이다.
외국인 관광객의 급감에도 불구하고 내국인 관광객이 크게 늘면서 이달 전체 관광객(36만5684명) 수는 전년 대비 5.2% 증가했다.
내국인 관광객의 씀씀이가 외국인에 비해 많이 떨어지기는 하지만 중국 관광객의 빈자리를 채워주면서 제주관광산업을 어느 정도 떠받치고 있는 것을 분석된다.
중국 여행사의 한국관광 상품 판매는 오는 15일부터 전면 금지돼 사드보복 조치의 영향이 이후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이에 대한 뾰족한 대책이 없는 상황이라 내국인 관광객 동향에 촉각이 모아지고 있다.
지금과 같은 내국인 관광객 증가의 흐름이 계속돼야 사드보복으로 인한 제주 관광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업계 일각에서는 2015년 ‘메르스 사태’ 때 경험을 들어 단기적으로는 내국인 관광객에 대한 마케팅 강화를 주문하고 있다. 당시 중국인 방한이 준만큼 항공기 좌석에 여유가 생기면서 제주를 찾은 내국인 관광객이 급증했었다. 메르스 종식 선언 이전인 2015년 7월 한 달간 제주를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은 전년동월 대비 83% 급감했으나 내국인 관광객은 35.4% 증가했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제주도 당국은 중국의 관광금지 조치에 대응해 시장 다변화 등으로 위기를 극복한다는 복안이지만 이는 장기적?거시적 대책”이라며 “당장은 유커의 빈자리를 내국인 관광객으로 메우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12일 제주도에 따르면 11일 오후 1시께 제주에 온 국제크루즈선인 코스타 세레나호(11만2000t급)가 제주항 외항에 기항했으나 중국인 관광객 3400명은 배에서 내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올해 예약됐던 크루즈의 제주기항 취소가 현실화되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