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제유가의 고공행진에도 불구하고 소비자 물가 상승폭이 크게 둔화됐다.
통계청제주사무소가 1일 발표한 ‘8월중 제주지역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 물가지수는 117.1로 지난해 8월보다 1.8% 오르는데 그쳐 2002년 1월(1.4%) 이후 37개월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전월과 비교한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0.1%로 한 달 전의 상승률 0.6%보다 크게 떨어졌다.
이에 따라 올 들어 8월까지 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7%로 정부의 올해 물가 억제 목표치인 3%초반을 크게 밑돌고 있다.
장바구니 물가인 생활물가 역시 오름폭이 크게 꺾였다. 식료품 등 일상생활에서 자주 구입하는 156개 품목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는 122.4로 1년 전에 비해 2% 오르는데 그쳤다.
이는 2003년 9월(2%)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고유가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물가가 안정세를 보인 것은 농축산물가격이 지난해에 비해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농수축산물 전체 가격은 전년 8월에 비해 3.3%나 하락했다. 집세와 공공서비스 요금도 저년 같은 기간에 비해 각각 0.2%, 0.3% 상승에 그쳐 물가안정에 기여했다.
반면 공업제품과 개인서비스 요금은 1년 전에 비해 3.4%, 3.3% 각각 올라 물가상승을 압박했다.
주요품목의 전년 7월에 대비 등락을 보면 국산담배(27.8%), 한우쇠고기(11.3%), 보육시설이용료(11%), 등유(9.8%), 취사용LPG(9.15), 휘발유(4.2%) 등은 상승했다.
그러나 감자(29.6%), 고등어(24.4%), 달걀(19.1%), 갈치(16.45), 식용유(11%), 수입쇠고기(7.9%) 등의 품목은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