곶자왈 파괴 논란 ‘사파리월드 개발사업’은
곶자왈 파괴 논란 ‘사파리월드 개발사업’은
  • 이정민 기자
  • 승인 2017.03.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동복리 30만평 1521억원 동물원·숙박시설 등
도내 시민단체 “道, 곶자왈 보전 강조 불구 묵인”

최근 공무원이 공청회를 요구한 주민의 정보를 사업자 측에 제공해 논란이 되는 제주사파리월드 개발사업은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산 1번지 일원 약 30만평(99만1072㎡)에 사파리(동물원)와 모노레일, 공연장, 숙박시설(관광호텔 80실) 등을 추진하는 것이다. 사업자는 (주)파라쿠트빌리지(대표이사 한상용)로 내년 말까지 1521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2015년 6월 사전입지검토를 신청하고 2016년 4월 환경영향평가 준비서 제출, 5월 환경영향평가협의회 심의를 거쳐 지난 1월 환경영향평가서(초안)를 접수했다. 1월 13일부터 지난달 20일까지 주민공람을 하고 1월 23일 동복리사무소에서 주민설명회를 했다. 이 과정에서 주민 56명이 공청회를 요구했고 제주도가 지난달 28일 사업자 측에 공청회 개최를 요구하면서 주민들의 정보가 넘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제주사파리월드 개발사업에 대해 도내 시민단체들은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제주환경운동연합, 제주참여환경연대, 곶자왈사람들은 지난달 9일 성명을 내고 “개발사업 부지 전체 면적 중 25.5%인 252,918㎡가 제주도 소유지로 밝혀졌다”며 “제주도 당국이 곶자왈 보전 의지를 강조하며 뒤로는 도유지 곶자왈에 대한 개발 사업을 묵인한 게 아니냐”고 힐난했다. 이들은 “제주사파리월드 개발 사업을 멈추고 도유지 곶자왈의 임대 불허 방침을 밝혀야 한다”고 제주도에 촉구했다.

지난달 15일 열린 제주도의회 제348회 임시회 2017년도 제주도 주요업무보고 자리에서도 제주사파리월드 사업이 도마에 올랐다. 당시 행정자치위원회 소속 강경식 의원은 “개발이 계획된 곳이 도내 곶자왈 중 가장 우수한 가치가 있는 선흘 곶자왈 동백동산 왼쪽”이라며 “과거 곶자왈의 세계자연유산 등재 시도가 무산된 것은 제주도의 추진 의지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상봉 의원도 “찬·반으로 나뉘어 갈등이 발생할 우려가 커 제주도가 곶자왈 보전 의지를 밝히고 사업자가 개발에 대한 기대 심리를 갖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제주사파리월드 개발사업은 앞으로 승인신청을 위해 경관·교통·재해·도시건축·환경영향평가위원회 심의, 제주도의회 동의 등의 절차를 남겨두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