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따른 중국의 보복으로 관광 등 제주지역 경제가 직격탄(直擊彈)을 맞고 있다. 이에 따라 관광호텔 등의 숙박업체는 물론 전세버스와 외식업체, 면세점 및 지역상권 등 관광업계 전반에 ‘비상(非常)’이 걸렸다.
제주자치도가 제주관광 예약취소 실태를 파악한 결과, 6일 기준 11만1000여명이 예약을 취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 정부가 한국관광 금지 조치를 내리면서 대규모 예약 취소가 본격 시작됐다는 뜻이다.
지난해 제주를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모두 306만 여명. 제주직항편 120만명과 서울 등 경유 70만명, 크루즈 116만명 등이다. 도는 중국의 관광금지 조치로 지난해보다 70% 정도 중국인 관광객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를 입증하듯 중 관광객들이 즐겨 찾던 제주시 연동 바오젠거리는 썰렁했다. 평소 유커(遊客·중국 단체관광객)들로 북새통을 이뤘던 대형 면세점도 마찬가지다. 일부에서 싼커(散客·개별관광객)들이 물건을 고르는 모습이 눈에 띄었지만 대부분의 매장이 한산했다.
특히 성주골프장을 사드 부지로 제공한 롯데의 경우 면세점 등의 피해가 막대하게 나타날 것으로 알려졌다. 면세점 관계자는 “메르스 사태 때보다 문제가 훨씬 심각하다”며 “이 같은 분위기가 언제까지 지속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대응책 마련도 쉽지 않다”고 큰 우려를 표했다.
중국 단체관광객이 90% 이상을 점하는 제주의 크루즈 관광산업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더욱이 오는 15일부터 한국 관광금지가 본격화되면 크루즈 손님 역시 반토막 날 것이 뻔하다. 이는 곧바로 지역상권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이 모두가 중국 관광객에 대한 의존도(依存度)가 너무 높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다.
대만은 지난해 1월 총통 선거를 둘러싸고 중국이 관광제한 조치를 취하자 발빠르게 동남아 등 다른 지역으로 눈을 돌렸다. 그리고 이제 서서히 그 효과가 드러나며 위기를 극복해 나가고 있다 한다.
제주의 경우 그동안 ‘국적(國籍) 다변화’ 등 새로운 시장 개척을 부르짖는 목소리와 함께 막대한 돈을 들였으나 별다른 성과는 없었다. 뭐가 문제이고 뭐가 잘못된 것인지, 제대로운 원인 분석을 하고 있다는 말조차 아직 들어보지 못했다. 최악의 상황이 예견되는 지금도 중국의 ‘사드 보복’을 멀거니 바라보고만 있다. ‘무대책(無對策)이 대책’인 관광제주의 현실은 과연 누구의 책임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