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의 기억’이 빠진 제주 도시재생
‘마을의 기억’이 빠진 제주 도시재생
  • 오수진 기자
  • 승인 2017.03.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시재생을 말한다] 2. 제주도의회
“주민들이 마을의 가치를 발견 할 수 있도록 도와야”
60일 이내 수정의견 없으면 원안 그대로 국토부로

노후한 도시가 정비 사업으로 부흥하려 하고 있다. 기존 재개발 사업이 물리적 환경개선에 주목했다면 도시재생 사업은 사회·문화 프로그램을 도입해 지속가능함을 이끌어내려 한다. 제주에서도 ‘기억’을 통해 옛 원도심이 간직한 수많은 가치를 이끌어내고자 했지만, 결국은 물리적 환경 정비에 치중하는 모습이 나타나 반감을 사고 있다. 어떤 도시재생이 되어야 할 지 의견을 듣는다. [편집자주]

“도시재생은 마을 주민들이 마을의 가치를 스스로 발견해 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마을에서 나고 자란 사람들의 기억이 소중한데 빅데이터도 없이 몇몇 전문가에 의해 속전속결로 추진되고 있다. 제주 도시재생에 ‘기억’이라는 말이 자꾸 언급되지만, 정작 마을의 기억은 빠졌다.”

제주시 원도심 사업 중 마중물 사업에 관덕정 광장 복원 등이 포함되면서 삼도2동 지역구 의원인 이선화 의원은 고민에 빠졌다. 지역구 의원으로서 해당 지역에 65억여원이라는 많은 예산이 오는 것은 환영할 일이지만, 예산이 온다는 것은 논란이 되고 있는 이 사업이 진행된다는 것을 담보로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의원은 “도시재생 사업의 실험용으로 우리동네가 이용돼 우는 주민이 생기고 생업을 포기하는 일이 생긴다면 그것은 옳은 것이 아니다”면서 “그럴 경우 예산이 아쉬워도 과감히 보류하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 지난달 21일 제주시 삼도2동주민센터에서는 ‘2017 원도심 문화재생 사업,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제주도의회 문화관광스포츠위원회(위원장 김희현)가 주최한 제36차 제주문화관광포럼 정책간담회가 열렸다.

“아무 계획도 갖고 있지 않다”고 했던 행정의 말은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이 의원은 “도시재생계획 수립권자가 ‘도지사’로 되어있다. 의회에 제출된 (의견청취)계획안이 있는데 집행부가 자신들의 계획은 없다고 한다면 무마용 발언이다. 정말로 의견이 없었다면 서류도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제주도는 지난 달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에 제주시 중앙로터리부터 서문로터리까지 500m 구간을 차 없는 거리로 조성하는 방안과 옛 관덕정을 재현하는 내용 등을 담은 ‘원도심 도시재생 전략계획 및 활성화 계획(안) 의견 제시의 건’을 제출했지만 제주도의회는 주민 합의 등의 문제로 심사를 보류했다.

하지만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60일 이내에 수정 의견이 없으면 원안 그대로 국토부에 올라가게 된다. 지난 2일 제주도는 주민간담회에서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겠다고 했지만, 아직 의회에 수정안을 제출하지 않은 상태다.

만약 제주도가 수정안을 제출하지 않을 경우, 재개최되는 회의에서 의원들의 반발로 수정을 요구한다해도 도시재생특별법에 따라 수립계획권자인 지사가 타당하다고 할 경우에만 반영되는 것으로 되어있어 도의원들의 목소리가 반영될지는 미지수다. 그 최종일은 14일이다.

이 의원은 “주민들은 그동안 도시재생이 뭔지도 모르다가 분노 했고, 이제서야 이게 뭔가하고 공부하며 기대감으로 들여다보고 있다”며 “집행부는 이제부터라도 함께 다시 만들던가 수정 작업을 하는 것이 옳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