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기항 신청 17일까지…부정적 영향”
중국 정부가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추진에 따라 여행사를 통한 한국 관광 금지 조치를 내리면서 급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제주의 크루즈 관광산업에 빨간불이 켜졌다.
당장 올해만 해도 대규모 크루즈 관광객의 예약 취소가 현실화할 것으로 보이는 데다 현재 접수 중인 내년도 크루즈 기항 신청도 반토막 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7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현재까지 올해 예정된 중국발 제주기항 크루즈선 입항이 취소된 사례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지만 중국 관광당국인 국가여유국의 한국 패키지여행 금지 시행일인 오는 15일 이후부터 기항 취소 사례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제주도가 중국 동향을 파악한 결과 온라인 여행상품을 취급하는 중국 최대 온라인 여행사인 씨트립은 물론 투니우 등에서 한국을 경유하는 여행 상품 및 제주·부산 정박 상품 등이 삭제되거나 사라진 상태다.
이로 인해 지난달 말 기준으로 703항차·150만명으로 예정돼 있는 중국발 크루즈선의 제주 기항도 불투명해진 실정이다.
이와 관련해 지난 6일 열린 ‘중국 관광객의 한국관광 금지에 따른 긴급 대책회의’에서 김창선 제주도 해양산업국장은 “앞으로 제주 기항이 취소될 가능성이 높다”며 “제주 크루즈산업은 중국의 단체관광이 97% 정도를 차지하는 만큼 어려움이 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제주도는 이 같은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6일 제주관광공사, ㈔제주크루즈산업협회 등 유관기관과 긴급 대책회의를 열어 ▲시장 다변화 방안 ▲중국 동향파악 등 정보 공유 ▲크루즈산업 피해사례 모니터링 등에 대해 논의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그러나 문제는 올해 예정된 기항 취소만으로 피해가 끝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제주도가 오는 17일까지 내년도 제주기항 크루즈 일정을 신청 받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 정부의 조처가 내년도 기항 신청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중국의 조치가 정치적 문제인 만큼 언제든지 상황이 급변할 수 있다고 보고 관련 동향을 주시하면서 차분하게 대처해 나갈 것”이라며 “기존에 추진하고 있는 강정 크루즈항 개항 준비는 물론 국제크루즈포럼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