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참여 절실하지만 정작 간담회·설명회 등엔 불참” 문제
사전 협조 요청 미흡은 인정…일부 사업 주민의견 반영 철회
최근 원도심 도시재생 사업과 관련해 말들이 많다. 각자의 위치에서 서로의 입장차만 확인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견은 좀처럼 좁혀지지가 않는다. 행정, 주민, 의회, 전문가 등에게 각자의 위치에서 생각하고 있는 ‘도시재생’의 의미를 묻고, 진짜 도시의 재생을 위한 길은 무엇인지 고민해보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편집자주]
“제주의 도시재생 사업은 원도심 성안의 역사와 문화를 중심으로 지역 주민의 정주환경을 개선하는 데 있습니다. 하지만 관이 계획이나 대안을 제시 할 수는 없습니다. 주민이 이끌어 가는 것, 그것이 도시재생의 취지입니다.”
제주시 원도심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 중인 제주도 도시재생과는 지역 주민들이 함께 해야 한다며 ‘도시재생의 원칙은 곧 주민’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기존 물리적 방식으로만 진행해 왔던 ‘재개발’과는 다른 개념이기에 주민참여가 1차적 요건임을 강조한 것이다.
그럼에도 눈으로 보이는 행정과 지역주민의 갈등은 상당하다. 이유는 무엇일까.

김양훈 제주도 도시재생과장은 “도시재생의 취지는 주민들이 계획하고 결정하며 이끌어가는 데 있다”면서도 “주민들이 도시재생의 의미를 인지하지 못해서인지 관에서 자신들이(주민) 무엇을 해야 할 지, 대안이나 계획까지 말해줄 것을 원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주민들은 도시재생 의미가 낯설어 모르고 있다”며 “간담회나 설명회를 해도 자생단체장들이나 이해당사자 분들만 오시고, 정작 지역주민들은 보이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사업을 추진해가는 데 있어 이해 당사자들인 지역 상인과 지역 주민들에게 먼저 이해와 협조를 구하는 것은 물론 도시재생의 의미를 설명하는 과정조차 부족했음을 사실상 인정한 것이다.
지난 2일 ‘주민이 원하지 않는 사업은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던 제주도는 도시재생 사업의 첫 시작이었던 마중물 사업 중 ‘차 없는 거리’, ‘서문 복원’, ‘관련 토지 매입’ 등에 대해 지역 상인과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 결국 없던 일로 되돌렸다.
반면 관덕정 광장 복원에 대해서만은 지금의 방식과는 달리 다양한 방법의 토론회 등을 거쳐 주민들과 구상안을 만들어 공감대를 형성해 가겠다고 했다.
이에 대한 행정적 차원의 단계적인 노력으로 제주도는 2018년까지 297억원을 투입해 제주시 도시재생활성화 사업으로 공신정터와 관덕정광장, 서문지역 토지 및 건물을 매입하려던 당초 계획을 지난 6일 철회했다.
또한 ‘도시재생’의 의미부터 새로 재정립하고, 지역민들의 인문학적 역량을 키워나가기 위해 ‘도시재생대학’을 추진, 지역민은 물론 도민과 교류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