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졸한 사드보복’ 제주관광 기회로
‘치졸한 사드보복’ 제주관광 기회로
  • 제주매일
  • 승인 2017.03.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 정부가 우리나라 사드(THAAD) 배치에 대한 보복을 본격화하기 시작했다. 중국 여유국(관광국)이 지난 2일 베이징 일대 상위 여행사 20여곳을 소집, 단체와 자유 등 중국인의 한국행 여행상품 판매의 즉각 중단을 지시했다. 중국에서 출발하는 크루즈 여객선의 한국 부두 기항도 금지했다.

중국 당국은 이미 계약된 관광상품은 이달 중순까지 모두 소진하도록 했다. 중국은 이같은 조치를 전국으로 확대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역 관광업계가 충격에 빠졌다. 중국인들이 제주 치안 위협 등 난폭사례가 늘고 있긴 하지만 제주관광에 ‘최대 고객’임에는 틀림없기 때문이다.

지난해 내도한 외국인 관광객은 360만3021명 가운데 중국인이 84.9%인 306만1522명에 달했다. 이번 조치로 중국인 관광객의 70% 정도 줄어들 것이란 예측이라면 최소 200만명이다. 지난해 1500만명을 돌파한 제주관광이 1300만 시대로 뒷걸음질할 판이다.

도내 면세점과 숙박업소 등은 물론 지역경제에도 직격탄이 우려된다. 중국 관광객 50%가 줄면 내수효과가 3조원 준다는 분석도 있다.

설마 했지만 ‘역시나’였다. 대국(大國)이라는 중국이 하는 짓이 여느 소국(小國) 만도 못하다. 물론 사드에 부속되는 레이더 등으로 자국내 정보 노출될 개연성 때문에 불쾌할 수는 있다. 그래도 ‘이딴 식’은 아니다.

중국의 ‘보복’을 이겨내야 한다. 사드 필요성에 대한 일부의 ‘이의’는 대한민국 국내의 일이다. 배치결정 과정에서 외교적으로 섣불리 어설프게 대처한 면이 없지 않지만 사드배치 결정은 우리의 ‘주권’에 해당하는 일이다.

어차피 저가의 중국 관광의 문제가 고질적인 제주관광의 병폐로 자리하던 참이다. 계란을 여러 바구니에 담아야 하듯 해외관광시장의 ‘포트폴리오’의 필요성도 진작부터 제기됐던 숙제다.

위기는 기회라고 했다. 물론 과정에서 아픔도 있을 것이다. 그래도 아픔을 나누고 지혜를 모아 돈으로 치졸한 장난을 치는 중국 관광시장이 없어도 충분히 먹고 살 수 있음을 보여주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