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정부가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보복으로 한국 관광을 전면 금지하면서 제주 관광업계가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점쳐지고 있는 가운데 15일 이후 대규모 취소 사례가 발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와 도민사회의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인천, 광주, 경북, 충북 등에서 잇따라 중국인 단체 관광 취소 사례가 발생한 것은 물론 이미 제주지역에서도 중국인 관광객의 예약이 취소된 것으로 확인되면서 대책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제주특별자치도는 6일 제주도청 삼다홀에서 ‘중국 관광객의 한국관광 금지에 따른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 모색 및 추진방향 등을 논의했다.
이날 제주도가 발표한 ‘중국인 한국관광 금지 관련 동향 및 대책’에 따르면 오는 15일 이후 대규모 예약 취소 사례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됐다. 사실상 15일을 기점으로 도내 관광업계 타격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뉴화청, 금우국제, 킹스라인 등 도내 5곳 여행사에서 420여 명의 중국인 단체 관광객 일정을 취소한 데다 도내 여행업 가운데 23.9%를 차지하는 중국계 운영 여행사 및 중국 전담 지정여행사의 타격이 클 것으로 전망됐다.
중국인 단체·개별 관광객 감소에 따라 특급 관광호텔 등 관광숙박업의 전반적인 침체는 물론 중국인 단체 중심의 외식업체, 전세버스 등과 중국인 단체관광객에 의존하고 있는 롯데·신라면세점 등이 타격을 입을 것으로 관측됐다.
제주도는 이 같은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의 보복 조치가 종료될 때 까지 도지사를 중심으로 한 대책본부를 구성하는 한편 ▲중국 개별관광객 유치방안 등 틈새시장 공략 ▲일본·동남아 등 다변화 마케팅 병행 ▲국내시장 마케팅 강화 ▲도내 관광업계 피해상황 지속 점검 등을 벌일 계획이다.
이날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한국과 중국의 가까운 관계에 안주해 최악의 상황을 고려하지 못했으나 이번 경험을 통해 교훈을 얻어야 한다”며 “단기적인 충격과 직·간접적 피해에 대해 면밀히 파악해 대응하는 한편 위기를 기회로 삼아 관광산업의 체질과 구조 개선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원 지사는 이날 대책회의에 이어 펑춘타이 주 제주 중국총영사와 면담을 갖고 중국의 공식 입장 등을 청취했다.
또 다음 주까지 유일호 기획재정부 장관 및 경제부총리는 물론 외교부, 국토교통부,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 등과 만나 대응방안을 논의하고 소통체계를 가동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