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돌연모(石器), 석상(石像), 그리고 비(碑)’

제주대학교박물관(관장 문혜경)은 소장유물 도록 ‘제주의 돌연모(石器), 석상(石像), 그리고 비(碑)’를 발간했다.
제주대 야외유물전시장을 새롭게 조성하면서 제주의 생활문화유산인 석제유물의 사진과 해설을 수록한 책자를 발간함으로써 관람객의 이해를 돕고자 했다.
도록은 120여 점의 석제유물을 제주의 돌연모(石器), 제주의 석상(石像), 제주의 비(碑), 부록으로 나눠 실었다.
제주의 돌연모(石器)에는 일상에서 자주 사용했던 돌방에, 보리통 등의 식생활 도구와 정주석, 땅다짐석 등의 주생활 도구, 돌테, 곰돌 등 생업 관련도구를 수록했다.
제주의 석상(石像)에는 제주를 대표하는 제주읍성 돌하르방 4기와 과거 산지천의 치수와 마을의 안녕을 위해 세웠던 조천석, 마을의 액막이를 위해 세운 돌코냉이, 무덤가에 세웠던 동자석 등을 담았다.
제주의 비(碑)에는 조선시대 제주 목사 백낙연 불망비를 비롯한 여러 선정비와 의연비, 비석받침, 지붕석, 망주석 등을 소개했다.
이외 부록에는 ‘제주의 돌문화(강정효)’, ‘제주도의 비석(홍기표), ’제주돌문화의 상징, 제주동자석(이창훈)’ 등 제주 돌문화에 관한 글을 실어 도록에 수록된 유물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했다.
이번 도록은 제주대박물관이 발갈한 열 번째 소장유물 도록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