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기준 20여곳 접수 확인 실제 사용 등은 미지수
정부가 국정 역사·한국사 교과서를 보조교재로 활용하기로 해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일단 신청 학교는 수십 곳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교육부는 국정 교과서를 시범적으로 사용할 연구학교를 모집했으나 전국에서 경북 경산시 문명고 1곳이 신청하는데 그치는 등 학교 현장에서 외면받자, 지난달 20일부터 보조교재 등으로 활용할 학교를 접수 받고 있다.
전국 중·고교에서 학급별 읽기 자료, 도서관 비치, 관련 동아리 및 방과후 학교 자료, 교과서 재구성을 통한 교수·학습 참고자료, 역사수업 보조교재 등으로 활용을 원하면 오는 15일까지 무료로 교과서를 배포하기로 방침을 세운 것이다.
교육부 등에 따르면 보조교재로 쓰겠다고 신청한 학교 수는 2일 기준으로 20여 곳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는 마감일(6일)에 접수가 몰리면 최종적으로 100곳 안팎의 학교가 신청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내부 학교 구성원들의 반발을 생각할 때, 실제 몇 개 학교가 국정 교과서를 보조교재로 사용할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국정 교과서를 학생 수만큼 주문해 보조교재로 활용하는 경우에는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접수 마감은 6일까지다.
한편 전국에서 유일하게 국정교과서 연구학교를 신청한 문명고에서는 반대 학생과 학부모들의 피켓 시위를 교직원들의 저지하면서 입학식이 취소되고, 신입생 일부가 전학과 자퇴 의사를 밝히는 등 학교 운영이 연일 파행을 겪고 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