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2월부터 차일피일…쓰레기대란 현실화 우려

제주특별자치도가 2일 동복리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매립·소각)를 착공키로했지만 합의 사항 이행을 촉구하는 주민 반대에 부딪혀 철수 했다. 이에 따라 자칫 이 사태가 장기활 될 경우 쓰레기 대란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이하 환경센터)는 지난 2014년 구좌읍 동복리 주민 투표에 의해 유치가 결정됐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환경센터 착공을 위한 모든 행정절차를 마무리, 지난해 12얼 착공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동복리 유치 당시 주민들과 약속한 마을 양돈장 이설문제에 발목이 잡힌 것.
제주도는 주민들과의 합의를 이행하기 위해 그동안 양돈장측과 이설문제를 두고 협상을 진행해 왔지만, 양돈장측의 거부로 협상이 난항을 겪으면서 환경센터 착공 역시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제주시역 생활쓰레기 처리난이 가중되면서 제주도는 더 이상 착공을 미룰 경우 도민사회에 큰 혼란이 예상된다며 이날 공사를 강해하려 했지만 “양돈장 이설 전엔 유치할 수 없다”는 동복리 주민들의 거센 저항에 부딪혀 다시 한 번 발길을 돌려야 했다.
이날 김방훈 부지사의 요청으로 지역주민 5명과 김양보 환경보전국장, 고경실 제주시장 등이 면담을 진행했고, 마을측에선 조만간 임시총회를 개최해 주민들의 의견을 물은 후 재협상하겠다고 밝히면서 착공 시점은 또 다시 미뤄지고 있다.
당초 환경센터 조성사업은 예산 2034억을 투입, 동복리 26만7096㎡부지에 매립·소각시설을 조성할 계획으로 오는 2019년 완공을 목표로 했다.
양돈장 이설에 따른 주민 반대가 계속될 경우 완공 시점을 장담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양돈장의 경우 사업부지 밖에 있기 때문에 행정적으로 강제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우리도 답답한 심정”이라며 “앞서 주민들의 통큰 결정과 이해를 바탕으로 입지가 선정된 만큼, 이번에도 주민들의 현명한 판단을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