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1년 3개월 앞 많은 변수 관심
지방선거 1년 3개월 앞 많은 변수 관심
  • 제주매일
  • 승인 2017.03.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의원 증원·행정시장 직선제 등 논의 활발하나 법 개정 불확실
지방정가 재편 與분열 후보 난립 예상…일부 벌써 캠프 움직임

내년 6월 치러질 제7회 전국동시 지방선거가 1년 3개월여 앞으로 다가왔지만 제주지역은 변수가 많은 상황이다.

선거구획정이 진행 중인 도의원선거를 비롯해 행정시장 직선제 도입 여부 논의 등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제주특별법 개정 여부가 아직 불확실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 정치지형 변화도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시작된 보수진영의 분열로 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 탈당파들이 바른정당을 창당한 가운데 제주에서도 원희룡지사를 비롯해 현역 도의원들이 대거 새누리당을 탈당해 바른정당에 합류하면서 지방정가도 재편됐다.

이에 따라 내년 지방선거에서는 앞선 선거에서 보다 도지사와 도의원 등 후보군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면서 각 정당 및 출마 예정자들의 셈법도 복잡해 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 논의가 진행 중인 행정제체개편과 관련해서도 결과에 따라 내년 지방선거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게 된다. 특별법 개정 여부가 아직 불투명한 상황이지만 개정된다고 전제하면 행정시장 직선이든 기초단체 부활이든 내년 선거판은 커지게 된다.

최근 도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가 현행 의원 정수 41명을 43명으로 늘리기로 결정한 가운데 특별법이 통과된다면 제6선거구(삼도1·2동, 오라동)와 제7선거구(삼양·봉개·아라동)만 분구하면 큰 변화는 없지만 통과되지 못하면 혼란은 피할 수 없게 된다.

현행 의원정수를 유지한 채 선거구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헌법재판소가 제시한 기준에 맞도록 읍·면·동별로 인구수에 따라 선거구를 통폐합할 수밖에 없어 갈등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특별법 개정 절차도 조기대선정국에 묻혀 제대로 이행될 수 있을지 장담하기도 힘든 상황이다.

이와 함께 지방선거 출마 예정자들에게는 소속 정당에 따라 대선 결과도 변수다. 제주도민들의 대선 민심이 지방선거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한편 내년 지방선거를 겨냥한 일부 출마 예정자들은 이미 캠프를 차리는 등 움직임이 시작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