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웅래 의원 “문제지까지 매우 심각”…李교육감 ‘대비책’ 주문
국정교과서에 이어 이번에는 EBS 교재에서도 제주4·3을 축소·편향했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연계 교재인 EBS ‘수능특강 한국사영역 한국사’가 제주 4·3사건의 원인을 ‘좌익세력의 무장봉기’로 서술했다.
해당 교재의 168쪽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6·25전쟁’ 편에는 정부 수립을 둘러싼 갈등에 대해 설명하면서, 제주4·3사건의 출발점을 ‘제주도의 좌익세력 등이 5·10 총선거를 앞두고 무장 봉기했다’로 기술했다. 이어 ‘제주 3개 선거구 중 2곳에서 선거가 무효화됐고’, 이로 인해 ‘진압과정에서 제주도민들이 희생됐다’고 적었다.
이렇게 단순화된 설명은 자칫 제주4·3사건이 좌익의 무장봉기 때문에 발생했으며 정부가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불가피 일부 도민들이 희생된 단조로운 도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무력을 사용한 좌익을 악으로, 이를 진압한 정부는 선으로 극단적인 이분법적 판단을 줄 수 있다는 의미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역사적 사건은 복합적 배경에 의한 경우가 많은 만큼, 맥락을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이승만 정권에 의한 일반 도민들의 피해를 ‘진압과정’이라는 말로 마치 불가피한 희생으로 치환한 점, 피해자가 2만5000명에서 3만 명으로 현대사에서 한국전쟁 다음으로 인명피해가 컸던 사건을 설명하면서 희생자 규모 등의 기본 정보를 담지 않은 점도 비판을 받고 있다.
이 같은 문제는 12일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서울 마포구갑)도 지적했다.
노 의원은 “EBS 교재는 수능 연계율이 70%에 이르는 등 사실상 학교 현장에서 교과서처럼 활용되는 교재”라고 전제한 뒤 “문제지까지도 편향적으로 서술됐다는 것은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질타했다.
13일 이석문 제주도교육감도 우려를 표했다.
이 교육감은 13일 오전 도교육청 본관 2층 상황실에서 열린 기획조정회의에서 “이번 일로 유족과 도민들이 상처를 입을까 걱정된다”며 “다양한 관점은 존중해야 하지만, 국가 진상보고서의 성과까지 한 순간에 되돌리면 안 된다”고 선을 그었다.
이 교육감은 “어쩌면 국정교과서보다 EBS 수능 교재가 아이들에게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학교 현장에서 EBS교재로 교육할 때 4·3을 더욱 충실히 가르칠 수 있도록 대비책 마련하라”고 해당 부서에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