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중 군사적 대결로 한반도와 제주 평화 위협…논의 중단돼야”
속보=미 해군이 민군복합항으로 건설된 제주해군기지에 최신 스텔스 구축함인 ‘줌월트’의 배치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강정마을 주민과 제주지역 시민단체가 크게 반발하고 있다.
특히 미국의 전략 자신인 줌월트 배치 문제가 정식 거론된다면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사드) 배치 결정 못지않은 논란을 불어올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강정마을회와 제주 군사기지 저지와 평화의 섬 실현을 위한 범도민 대책위원회, 제주해군기지 전국대책회의는 7일 오전 제주해군기지 정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미 해군 스텔스 구축함인 줌월트의 배치 논의를 규탄했다.
이들은 “그동안 지속적으로 제주해군기지가 미국의 대중국 전초기지로 활용될 것을 우려해 왔다”며 “그러나 해군은 제주해군기지가 대한민국의 해군기지이며, 미 해군 함정의 입출항 시 정부의 승인이 필요하다며 이를 적극적으로 부인해 왔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제주해군기지를 민군복합형 관광미항으로 추진해 크루즈 유치를 통해 동북아 크루즈 허브 역할로 제주도 경제성장에 적극 기여하겠다고 말해왔지만 제주해군기지의 줌월트 배치는 제주도 전체를 군사기지화하는 그 시작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들은 “한반도 사드 배치에 이어 제주해군기지에 줌월트가 배치된다면 중국과 한국은 돌이킬 수 없는 군사적 대결로 치달을 수밖에 없다”며 “결국 미군 전투함의 제주해군기지 배치는 동북아의 군사적 긴장을 더욱 높이는 결과만 가져올 뿐”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반도와 제주의 평화를 위협하는 줌월트급 스텔스 이지스함 배치 논의를 단호히 반대한다”며 “미국은 제주해군기지에 줌월트 구축함 배치 발언을 즉각 철회하고, 한국 정부는 미군의 줌월트 구축함 배치를 전면 거부하라”고 촉구했다.
고권일 강정마을회 부회장은 “제주해군기지가 미 해군기지의 역할이 된다면 제주의 미래는 없다”며 “제주도는 중국의 제1타격 목표가 되고, 중국과 미국 간 고래 싸움에 새우 등이 터지는 격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태호 제주해군기지 전국대책위원회 집행위원장은 “‘바다의 사드’로 불리는 줌월트가 제주해군기지에 배치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며 “이러려고 제주해군기지를 만든 것이냐”고 반문했다.
홍기룡 제주 군사기지 저지 범도민 대책위원회 집행위원장도 “설마 했던 우려가 현실로 다가오는 것 같다”며 “줌월트가 제주해군기지에 들어오는 순간 주변국의 모든 화력이 제주에 집중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편, 앞서 해리 해리스 미 태평양 사령관이 지난달 하와이 태평양사령부 본부를 방문한 국회 국방위 소속 의원들에게 줌월트를 제주해군기지에 배치하는 방안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