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시 강정 앞바다에 있는 ‘연산호 군락지’가 해군기지 건설 과정에서 훼손된 사실이 용역 보고서를 통해 확인됐다. 이는 그동안 연산호 군락지 훼손 문제의 경우, 기지 건설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는 해군과 문화재청의 주장과는 아주 상반된 것이다.
강정마을회 등으로 구성된 연산호 조사 TF팀은 최근 ‘제주 민군복합형관광미항 주변 천연보호구역 연산호 생태 사후조사’ 보고서를 입수했다. 보고서를 보면 “해군기지와 가장 인접한 강정등대는 기차바위와 범섬과는 다르게 50% 이상의 지표생물군에서 상대적인 감소가 발생하는 등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환경영향을 받았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해군 측은 이를 태풍 등의 책임으로 돌리고 기지 건설로 인한 군락지 훼손을 인정하지 않았다. 감독기관인 문화재청 역시 “해군에서 2011년부터 연산호 군락지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 결과 생육 실태에 큰 변화가 없다”고 2015년 국정감사에서 밝힌 바 있다.
백번 양보해 기지 건설 당사자인 해군은 그렇다 쳐도, 연산호 군락지 보호에 적극 앞장서야 할 문화재청이 사실을 호도하며 거짓 주장을 편 것은 지탄받아 마땅하다.
더욱이 연산호 훼손이 없다던 해군 측은 아무도 몰래 강정등대 해상에 테트라포트 12기를 투입해 인공 복원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타당성 검증조차 거치지 않은 복원사업 등 의혹 전반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