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육청, 경찰 등과 공조 아동 찾기 착수

교육당국이 3월 새 학기를 앞두고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아동 48만 여명에 대한 전수조사에 나선 가운데 제주지역에서는 2월 현재 취학대상 아동 3명의 소재가 파악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계모와 친부의 학대로 사망한 ‘원영이 사건’ 이후 미취학 아동의 안전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짐에 따라 지난해 미취학·무단결석 관리·대응 매뉴얼을 만들고 아동 문제 개입 시기를 입학 후에서 입학 전으로 대폭 강화했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오는 17일까지를 집중점검 기간으로 정해 전국 시·도 교육청과 함께 미취학 아동 실태를 파악하고 있다.
제주지역의 경우 올해 2010년생 6000여명이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가운데 지난 1월 1차 조사에서, 2일부터 13일까지 초등학교별 예비소집 기간에 취학 등록을 하지 않은 학생이 제주시 12명, 서귀포시 4명 등 16명으로 집계됐다.
이후 이사 후 주소이전을 늦게 한 경우 등에 대한 확인을 거쳐 13명의 소재는 확인됐지만 2월 현재 제주시 1명, 서귀포시2명 등 3명의 거취는 파악되지 않고 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소재 파악이 당장 안 된다고 모두 위험한 상황으로 볼 수는 없지만 그 가운데 학대를 받고 있는 아동이 있을 수 있어 주의 깊게 대응하고 있다”며 “나머지 3명의 소재도 경찰 등의 도움을 얻어 모두 확인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교육당국이 새 학기 시작 전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실태 점검을 벌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교육부는 지난달 각 교육청에 미취학 아동 현황조사 협조공문을 발송한 데 이어 지난 3일에는 제주 등 지역교육청을 방문해 취학 관리 기구 및 의무교육관리위원회 설치 중간점검에도 나서고 있다.
한편 지난해 초등학교에 들어갈 예정이던 신원영 군은 1월 신입생 예비소집에 불참한 지 한 달 뒤인 2월 숨졌다. 학교는 예비소집 직후 아버지를 통해 신 군의 상태를 확인하려 했지만 실패했고, 경찰 신고는 입학 후인 지난 3월에야 이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