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많고 탈 많은 하수처리 문제와 쓰레기 정책 등이 당면한 지역의 주요 현안으로 떠올랐다. 16일 열린 제주도와 도의회 간 정책협의회에서도 이 같은 문제가 집중 거론됐다.
현재 상하수도본부에서 맡고 있는 하수처리와 관련해 서둘러 대안(代案)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신관홍 도의회 의장은 “상하수도 업무 가운데 하수 부분은 분리해서 공단 등을 통해 별도 운영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신 의장의 이런 지적은 매우 옳은 것으로 보인다. 하수(下水)처리의 경우 보다 전문적이고도 기술적인 부분이 필요하다. 특히 자주 말썽을 빚고 있는 도두하수처리장은 시설 낙후로 수리할 일이 너무 많은 실정이다. 때문에 이를 확실히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는 전문적인 기술자가 필요한데, 공직자들이 처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 공통된 의견이었다.
이에 원희룡 지사는 “중장기적으로 민간(民間) 위탁이라는 방향을 놓고 집중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재원 확보 등 세부적인 대안 및 계획 등에 대해 가닥이 잡히면 공론화(公論化)를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김영진 상하수도본부장도 “올해 용역을 발주해서 민간 위탁에 대해 타당성이 나오면 추진할 것”이라고 말해 이를 뒷받침했다.
이날 정책협의회에선 최근 쟁점으로 대두된 요일별 배출제 등 쓰레기 정책도 도마 위에 올랐다. 강연호 도의원은 “읍면지역의 경우 요일별 배출제 실시 이후 클린하우스가 부족해 고령화(高齡化) 된 주민들이 힘들게 쓰레기를 실어 나르고 있는 실정”이라고 현실을 외면한 정책을 꼬집었다.
올 들어 처음 열린 정책협의회에서 논의된 현안들이 어떻게 정책에 반영되고, 어떤 결과로 나타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