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차단방역’ 등 총력 기울여야
‘AI 차단방역’ 등 총력 기울여야
  • 제주매일
  • 승인 2017.01.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류인플루엔자(AI)와 관련 마지막 보루였던 제주지역마저 끝내 뚫렸다고 한다. 최근 제주시 구좌읍 하도철새도래지의 야생조류 분변에서 검출된 AI 바이러스가 고병원성으로 판정됐기 때문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은 하도리 야생조류 분변에 대한 AI 검사결과 고병원성 ‘H5N6’형으로 판정됐다고 10일 제주자치도에 통보했다. 이에 따라 원희룡 지사가 공식일정을 전격 취소하며 대책회의에 나서는 등 도를 비롯한 방역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원 지사는 11일 구좌읍 철새도래지 인근 AI 방역현장을 점검하고 ‘AI 차단방역’에 총력을 기울일 것을 주문했다. 이어 “육지부의 닭과 오리고기 반입을 차단하고, 철새도래지 인근 구역을 철저히 통제해 AI 바이러스가 확산되는 일이 없도록 만전을 기하라”고 관계기관에 지시했다.

이에 앞서 제주도는 고병원성 AI 바이러스로 의심된다는 국립환경과학원의 1차 검사 결과를 통보받은 9일 오후부터 ‘24시간 비상체제’에 돌입 만전을 기하고 있다. 우선 고병원성 AI 바이러스가 검출된 주변 10㎞내 농가 22곳에서 사육하는 닭과 오리 57만여 마리의 이동을 금지시켰다. 또 3㎞ 이내에 사육중인 토종닭과 오리 등은 수매해 도축 처분토록 했다.

이와 함께 오는 2월 말까지 예정돼 있던 수렵장 운영을 12일부터 전면 폐쇄하는가 하면, 도내 모든 가금농가에 소독을 지원키로 했다. 야생조류로부터의 AI 전파 방지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너무 호들갑을 떠는 것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비록 야생조류 분변 검사 결과 고병원성 바이러스가 검출됐지만, 농가에 AI 피해가 발생하지 않는 한 아직 ‘방어막이 뚫린 것은 아니’라는 게 일각의 주장이다.

제주의 경우 지난 2014년과 2015년 등 모두 6차례에 걸쳐 고병원성 AI 바이러스에 노출됐었다. 그러나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과 사전 철저한 방역이 이뤄졌기 때문인지 육지부와는 달리 정작 이로 인한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경계심을 풀지 않고 비상체계를 유지하되, 가금농가와 도민들을 불안에 떨게 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여기서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그간 몇 차례의 ‘AI 위기’에도 불구하고 행정과 농가, 지역주민과 관광객, 언론 등의 적극적인 협조로 아무 탈 없이 넘길 수 있었다는 점이다. 이번 위기 역시 일치단결된 힘으로 충분히 극복하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