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수요일 플라스틱 배출일 불구 가전제품·고철·비닐류 적잖게 포함
“쓰레기 발생량 줄었다” 평가 불구 수거인력·시민 불만 해소 필요성 확인
당국이 도시미관 개선과 쓰레기배출량 감소를 위해 ‘생활쓰레기 요일별 배출제(이하 요일 배출제)’에 대한 강력한 추진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도민사회 일각에선 ‘근본 문제 해결 없이 시민 불편만 초래하고 있다’며 요일배출제에 대한 폐지를 촉구하는 등 거센 반발도 일고 있다.

지난해 12월1일 시범 운영 중인 요일배출제 1개월여가 흘렀다. 아직 ‘성공’과 ‘실패’를 예단하기에는 이른 시기지만 제주시는 일단 제도시행 이후 클린하우스 주변 환경 개선과, 재활용쓰레기 선별이 용이해 지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자평했다. 제주도 역시 “지금은 제도 정착에 역점을 둬야 하는 시기”라며 정책 기조에 변화가 없음을 시사했다.
10일 찾은 제주시 회천동 제주시자원리사이클링센터(이하 자원센터). 요일배출제 시행 이전보다 쓰레기 발생량이 줄었다고는 하지만 수거인력들이 처리하기에는 버거워 보였다.
전날(9일 월요일) 플라스틱류 배출일이기 때문에 이날 자원센터에선 분류 작업이 한창이었다.
현장 근로자들은 요일배출제 시행이후 반입량이 줄었다고 입을 모았다. 다만 다른 쓰레기와 섞여 들어오는 혼입 문제에 대해선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실제 현장에는 플라스틱류가 대부분을 차지했지만, 일부 가전제품과 고철류, 비닐류 등도 적잖게 확인됐다.
제주시 관계자는 “일부 다른 쓰레기가 혼합되는 문제는 시민의식 때문”이라며 “제도 시행이후 선별작업이 수월해 졌고, 클린하우스 주변 환경도 많이 개선됐다”고 말했다.
시민 불편 문제와 관련, 이 관계자는 “아직 쓰레기양이 획기적으로 줄었다고 말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지만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건 사실”이라며 “제도 시행과정에서 나타난 문제는 제주도 등과 협의해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도민사회 일각에선 근본적인 문제해결 없이 당국의 일방적 정책 추진에 대해 불만 여론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제도 시행 이후 도내 시민사회단체들은 성명 등을 통해 “시민 합의 없는 요일 배출제에 대한 원점 재검토”를 촉구하는가 하면, 쓰레기정책에 분노하는 일부 시민들은 자발적 모임을 결성해 조직적인 반대 움직임도 예고한 상태다.
쓰레기정책에 분노하는 시민들의 모임 고성환 대표는 “배출·수거·처리 등 기존 시스템에 대한 개선 없이 요일배출제를 도입한 것”이라며 “이 문제는 시간을 갖고 근본적인 문제 해결로 접근해야 하는데, 행정이 결정을 무조건 따르라고 하니 시민들의 불편이 가중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