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 미생물학 교수팀, 재작년 도내 사망자 아내 검사
제주 학계에서 야생진드기가 옮기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바이러스가 진드기에 물리지 않고도 2차적으로 감염될 수 있다는 사실을 국내 최초로 밝혀냈다.
이근화 제주대학교 의학대학 미생물학교실 교수팀은 일본 국립 감염병 연구소 연구 팀과 공동으로 이 같은 내용의 연구 결과를 미국 열대의학·위생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ASTMH) 최근호에 발표했다고 2일 밝혔다.
연구진은 2015년 6월 제주도에서 야생진드기에 물려 SFTS에 감염돼 숨진 74세 남성과 자주 접촉한 아내의 유전자를 검사한 결과 숨진 남편의 것과 동일한 계통의 SFTS 바이러스를 확인했다. 바이러스가 진드기에 물리지 않고도 분비물 등을 통해 옮을 수 있다는 점이 밝혀진 것이다.
이근화 교수는 "SFTS 바이러스의 2차 간염 사례는 2012~2013년 중국에서 확인된 이후로 국내에서는 처음 확인됐다"며 "의료인은 물론이고 환자를 돌보는 가족, 주변인 등에게도 감염될 수 있는 만큼 야생진드기 의심 환자를 대할 때는 2차 감염에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SFTS는 야생진드기의 일종인 작은 소참 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질환으로 치사율이 30%를 넘는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진드기에 물리면 1~2주의 잠복기 이후 열이 나거나 근육통을 앓다가 의식이 떨어져 상태가 나빠지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