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정 특혜·촉박한 일정 논란 속 문화도시 기대감 무너져
지속사업 청소년 문화교류에 한정…장기 교류는 미지수
‘동아시아 문화도시’ 사업은 한·중·일 3개국이 문화 교류를 목적으로 2014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는 행사다. 올해는 중국의 닝보, 일본의 나라와 함께 제주가 선정돼 지난 2월부터 이달까지 3개국 문화교류를 이어오다 지난 16일 폐막했다.
한·중·일 3개국 나라의 다양한 문화를 접하고, 문화교류 행사를 확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오가기도 했지만, 사업을 둘러싼 여러 잡음으로 인해 사실상 그 빛은 가렸다.
사업 주최 측인 화동문화재단 제주지부(WCO) 선정 특혜 논란, 촉박한 일정으로 사업을 추진한 제주도, 안개 낀 사업 지속 교류 전망 등의 부정적인 평가는 ‘문화도시’에 대한 기대감이 실망감으로 바뀌는 한 순간이기도 했다.

실제로 올해 제주에서 열린 ‘동아시아 문화도시’는 사업기간이 2016년으로 1년간이었지만, 미숙한 행사 처리로 인해 대부분의 행사가 연계행사 형식으로 진행됐고, 그 나머지도 하반기가 되어서야 본격적으로 추진됐다.
<청소년 문화캠프>, <컬처디자이너 아시아페어>, <제주월드뮤직 오름페스티벌>, <미디어 파사드> 등 행사 기획의도로만 봐도 의미 있는 행사가 되기에 충분했지만, 당시 현장에서 만난 진행자들은 “수억 원이라는 예산에 비해 촉박했던 준비기간은 부족한 행사 결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아쉬움을 전했었다.
또 지속적인 문화교류사업까지도 도모해 문화도시의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해 볼 수도 있지만, 제주도의 향후 문화교류 안은 ‘청소년 문화교류’에 그쳤다. ‘청소년 문화교류’ 등을 통해 제주도가 장기적인 문화 교류를 어떤 방향으로 이어갈 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이와 같은 문제들이 불거지게 된 원인에 대해 제주도의회는 끊임없는 의혹을 제기했다. 현재 제주도감사위원회가 동아시아 문화도시와 관련해 감사 중이며, 감사결과는 내년 1월 중순쯤 나올 예정이다. 앞서 제주도와 사업자 측은 해명자료를 통해 일부 행정적 실수로 인한 오해일 뿐 “특혜는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던 만큼 감사 결과에 이목이 쏠린다.
하지만 의혹 규명보다도 대규모 국제 행사를 추진함에 있어 행정이 일정에 쫓겨 매우 촉박하게 진행했다는 점 등은 내년 UCLG 문화정상회의라는 또 다른 국제 행사를 준비하고 있는 제주도에게 행정의 책임을 가벼이 물을 수 없는 이유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