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제주하수종말처리장에 빗물이 들어가면서 하수가 넘쳐 인근 바다로 흘러간 사고와 관련해 제주 지역 환경 단체가 비판에 나섰다.
특히 제주도에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 막대한 예산을 들여 지난 1996년부터 진행 중인 오수관과 우수관을 따로 분리하는 ‘하수관로 정비사업’의 실효성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제주참여환경연대는 28일 오전 논평을 내고 “제주도에서 강수 시 하수 처리가 어렵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막대한 예산을 투자해 오수관과 우수관을 분리하고 있지만, 이번 사고로 근본 목적이 흔들리고 있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또 “이번 사업은 민간이 하수관거 정비 사업을 한 뒤에 기부체납을 하는 대가로 제주도정은 20년간 민간 사업자에게 임대료를 지급해야 하는데, 이것이 결국 도민들의 하수도 이용료 상승으로 메워진다”고 말했다.
이어 “제주도정은 이미 하수관거 사업의 임대료를 충당하기 위한 조처로 내년 하수도 이용료를 27% 올릴 것을 예고하고 있다”며 “당장 제주도민들은 하수도 이용료 인상 등의 부담을 내년부터 떠안게 됐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미 쓰레기 분리 배출 문제로 행정에 대한 도민의 신뢰가 크게 흔들리고 있는 지금 하수 무단 방류와 하수도 이용료 인상에 대한 명확한 해명이 없다면 도정에 대한 신뢰는 끝없이 추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10월 24일 하루 처리 용량이 넘는 오수가 들어와 100여t의 오수가 넘쳐 인근 마을에까지 넘친 데 이어 26일에도 30t의 오수가 바다로 흘러가 악취 등으로 주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