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전염병 차단방역 장비관리 강화해야
가축전염병 차단방역 장비관리 강화해야
  • 제주매일
  • 승인 2016.12.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축질병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는 상상을 초월한다. 지난 6월 28일 제주시 한림읍의 한 양돈농가에서 돼지열병이 발생했을 때 돼지고기 경락가 급락으로 농가들이 직격탄을 맞았다. 장장 38일간 위험지역(3km) 내 양돈농장에 대한 이동제한조치로 인한 간접적 피해 또한 컸다.

이번 사건은 가축 병원체의 유입과 확산 위험 경감을 위한 실효성 있는 차단방역의 필요성을 뼈저리게 느끼게 하는 계기가 됐다. 축산질병은 한 번 퍼지면 걷잡을 수 없는 만큼 사전 예방이 우선이다. 이를 위해서는 축산 사업자의 인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차단방역을 위한 제 장비의 관리를 제대로 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걱정스러운 일이 발생했다.

제주시가 관내 등록 축산차량 717대에 대해 무선인식장치(GPS) 단말기 상태를 모니터링 한 결과 204대에서 지난 9~11월 3개월 동안 정보 수집이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GPS는 고병원성 AI 등 가축전염병 발생 시 신속한 역학조사와 차량통제 등 효율적인 차단방역을 위해 장착한 장비다. 축산관계시설에 출입하는 가축·원유·알·사료·가축분뇨운반차량 등은 시에 등록을 하고 GPS 장착으로 차량 출입정보를 수집·관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 단말기의 정보수집 설적이 없다는 것은 장비가 ‘무용지물’이 아니냐를 의심해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실제 차량의 축산시설 출입이 없는 사례도 있을 수 있겠지만, 단말기가 정상적으로 작동 않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렇다면 가축전염병 발생 시 신속한 차단방역에 문제가 생기는 것은 불문가지다. 축산차량 무선인식장치에 대한 관리를 보다 강화해야 한다.

제주시는 이번 GPS 정보 미수집 축산차량에 대해 이달 말까지 일제점검을 벌여 그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하겠다는 입장이다. 정보 미수집 원인 분석을 통해 기술적 보완이 필요한 사항에는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바란다. 특히 GPS 장착·운영 위반행위에 대해서는 가축전염병예방법령에 따라 엄정한 행정조치를 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